고창 세계유산축전…인류문명 자연 위대함 알린다
전국
입력 2025-09-26 14:45:31
수정 2025-09-26 14:45:31
김영미 기자
0개
'국내유일' 유네스코 보물 7개 보유 도시

[서울경제TV 고창=김영미 기자]전북 고창군을 처음 방문 하는 사람들은 고속도로 IC를 지나면 '유네스코 세계유산도시'를 알리는 멋진 조형물과 마주한다. 하단에는 5개의 세계유산 엠블럼이 새겨져 있다. 조형물은 고창군의 중심인 군청 앞에도 세워져 오가는 지역주민들과 방문객이 인증샷을 찍는 포토존으로 사랑받고 있다.
2013년에는 행정구역 전지역(671.52㎢)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청정 지역이다. 이어 고창갯벌이 2021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됐고, 2023년엔 고창 병바위 등 지역명소 13곳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받으면서 유네스코의 주요 자연환경프로그램 3개 모두를 석권했다. 여기에 동학농민혁명 무장포고문까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돼 있다.
유네스코 유산으로 지정되는 것도 어려운 일이지만, 이를 잘 보존해 후대에 물려주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고창군은 세계유산 일곱개를 특화한 관광산업으로 사람과 돈이 모이는 활력도시를 만들어 가는데 주력하고 있다.
◇ “고대 인류문명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결정체” 고인돌유적
“우리 동네에는 고인돌이 사방천지에 있었어”, “봄이면 고인돌옆에 쑥이 나고, 가을이면 쑥나던 자리에 버섯도 나왔지”, “잡은 고기를 구워 고인돌에 상을 차려 먹기도 했어”
국내 최대 고인돌 밀집지역인 고창군 아산면 죽림리 일대 할머니들의 옛 기억들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고인돌은 현재의 인류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전 한낱 돌무덤에 불과했다. 인류문명이 발달하기 이전 고대사회에 세계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거석문화의 중심에 고창이 있었다는 사실은 비단 대단하다는 말로는 표현하기 힘들다.
고창군은 오랜 연구를 통해 고인돌유적을 2000년 12월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규모의 방대함과 함께 탁자식, 바둑판식, 개석식 등 다양한 형태가 혼재되어 있어 거석문화 연구의 살아있는 장이 되고 있다. 또한 고인돌 축조 과정을 알 수 있게 하는 채석장은 고인돌 변천사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모래·펄·혼밥갯벌 한 곳에..전세계적으로 희귀한 지질·생태자원 '고창갯벌'
'고창갯벌'은 지형·지질학적 속성으로 급경사 암반해안을 따라 갯벌과 섬이 분포한 섬 갯벌로 해리면 모래갯벌, 심원면의 혼합갯벌, 부안면의 펄 갯벌 등 다양한 갯벌 퇴적양상을 보이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희귀하다. 특히 폭풍모래 퇴적체인 쉐니어(Chenier, 해안을 따라 모래 혹은 조개껍질 등이 쌓여 만들어진 언덕)가 형성된 지형·지질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철새 기착지 등 생물다양성 보전서식지로의 가치도 인정받았다.
또 고창군은 전북지역에서 유일하게 고창갯벌을 찾는 철새 '뿔제비갈매기'를 군의 상징 새로 지정하고, 최근 열린 ‘제62회 전북도민체육대회’의 마스코트로 활용하며 화제를 모았다.

◇ 자연과 공존, 인류의 영원한 시간-세계유산축전
‘자연과 공존, 인류의 영원한 시간! 갯벌과 고인돌’을 주제로 한 이번 행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고인돌과 세계자연유산인 갯벌의 가치를 깊이 있게 전달한다.
대표 프로그램으로는 ‘고인돌 세움학교’와 ‘고창갯벌 탐조여행’을 꼽을 수 있다. ‘고인돌 세움학교’는 학교 수업 형태의 현장 체험 프로그램으로 고인돌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고 수업 완료시에는 졸업장까지 받을 수 있다. ‘고창갯벌 탐조여행’은 전기차 탐방과 함께하는 해설 탐조 프로그램으로 멸종위기 조류를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으로 꾸려진다.
이외에도 ‘숨쉬는 돌, 사계의 결 : 특별기획전’, 준비된 의상을 입고 직접 고인돌 축조과정을 체험해보는 ‘고인돌 세움마당’, 트랙터를 타고 갯벌속으로 들어가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갯벌속으로 GO! GO!’, 국제학술대회, 유적 투어, 환경 캠페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유산의 특별한 가치를 만끽할 수 있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헌터스’ 등의 인기로 한국의 문화와 자연이 전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며 “인류문명과 자연의 위대함을 느끼고, 지속가능한 보존과 활용의 가치를 담은 고창만의 세계유산축전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tkddml85@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내 종목만 왜 이래?”…상승장 속 커지는 소외감
- 2네이버, 두나무 편입…스테이블코인 판도 바뀐다
- 3SK이노, 3兆 실탄 확보…“재무구조 건전성 강화”
- 4신세계, 계열사 8곳 대표 교체…박주형·문성욱 사장 승진
- 5유럽 15% 관세에 부품사 파업…한국車 ‘위기’
- 6고창신협, 추석 맞아 고창읍에 성금·물품 200만 원 기탁
- 7전북은행, 추석 맞아 2025 '一石二鳥 추석 나눔' 사업 전달식
- 8신한은행-예스퓨처, '외국인 고객 서비스 강화' 위해 MOU 체결
- 9신한투자증권, 2025 중국시장포럼 성료
- 10시지바이오, 척추 임플란트 유럽 CE MDR 승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