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의원 “이승만은 여순사건 학살자”…교육위 국감서 역사 왜곡 질타

전국 입력 2025-10-17 11:40:00 수정 2025-10-17 11:40:00 고병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김낙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에 “대표 연구기관이 여순 논문 한 편도 없다”
“이승만 계엄령·대통령 담화가 민간인 학살 불렀다”…책임론 강하게 제기

▲ 김문수 국회의원이 지난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낙년 원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사진=김문수 국회의원실]
[서울경제TV 광주·전남=고병채 기자] 김문수 국회의원(순천갑)이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낙년 원장을 향해 “이승만은 여순사건 학살자”라고 직격하며, 국가기관의 역사 왜곡과 연구 부재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은 지난 16일 열린 교육위 국감에서 “대표적인 역사 연구기관이 10년 동안 여순사건 관련 논문을 단 한 편도 내지 않았다”며 “이승만 정권의 책임을 회피하는 것은 역사의 진실을 부정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여순사건을 어떻게 정의하느냐”고 묻자, 김낙년 원장은 “해방 직후 혼란기, 군 내부에서 제주 4·3사건 진압 명령에 반발해 일어난 반란 과정에서 민간인 희생이 발생한 비극적 사건”이라고 답했다.
이에 김 의원은 “국민을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을 때 군인이 그 명령을 따라야 하느냐”고 따져 물었고, 김 원장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당시 재판 없이 사망한 민간인이 약 1만 명에 달했다”며 “대표 역사기관으로서 진실을 밝히는 연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승만 정권 시절 일어난 여순사건에서 대통령의 책임을 어떻게 보느냐”고 다시 묻자, 김 원장은 “이승만 대통령이 학살을 의도했다고 보긴 어렵지만, 결과적으로 대규모 희생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김 의원은 “대통령이 명령하지 않았는데 군인과 경찰이 마음대로 학살했겠느냐”며 “이승만은 대한민국 최초로 계엄령을 선포했고, 그 결과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됐다”고 반박했다.
또한 “1948년 11월 5일자 수산경제신문에는 ‘남녀노소 불순분자를 모두 제거하라’는 이승만 대통령의 담화가 실렸다”며 “이승만은 학살자다. 이런 사람을 ‘자랑스러운 대통령’이라 부를 수 없다”고 질타했다.

김문수 국회의원은 “여순사건과 제주4·3사건의 진상 규명과 역사적 정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비롯한 국가기관이 더 이상 과거사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terryko@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고병채 기자

terryko@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