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기대감에 힘 빠진 금값…“아직 상승 여력 있다”
[앵커]
코로나19 백신 기대감 등으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과 금펀드가 저조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은 금값의 추가적인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정순영 기잡니다.
[기자]
한국거래소 금 시장에서 1kg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이 5개월여 만에 6만6,000원대로 내려앉았습니다.
지난 7월28일 8만100원으로 사상 최고점을 찍은 후 16% 이상 빠진 겁니다.
뉴욕상품거래소 금 선물 가격 역시 지난 8월6일 사상 최고점인 온스당 2,051.5달러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이어왔습니다.
지난달 하순 1,900달러선을 밑돌다가 지난 9일 4.97% 급락했고, 어제도 0.58% 밀리며 1873.5달러로 마감했습니다.
금 가격이 떨어지자 금펀드 수익률도 함께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금융정보회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날 기준 12개 금 운용 펀드의 최근 3개월간 평균 수 익률은 -5.36%, 1개월간 수익률은 –2.64%를 기록했습니다.
금 선물에 가격이 연동되는 상장지수펀드 중에서는 설정액 10억원 펀드 기준 '블랙록월드골드증권자투자신탁' 상품의 3개월 수익률이 -12.20%로 손해가 가장 컸습니다.
최근 화이자에 이어 모더나가 백신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는 소식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후퇴하고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강해지며 자금이 쏠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금값의 추가적인 상승 여력이 아직 남아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코로나발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기 전까지 안전자산 선호심리에 따른 금 투자가 유효하고, 실질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로 금값이 상승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입니다. 서울경제TV 정순영입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광주은행, 외국인 유학생 전용 신용대출 상품 출시
-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2025년 활동보고서' 발간
- KB국민은행, 조직개편 실시… 포용금융·시니어 서비스 강화 나선다
- 손오공, 한영철 대표 임총서 선임…“사업 경쟁력 강화”
- 우리은행, 삼성카드와 함께 상품출시·공동 마케팅 나선다
- 케이뱅크, K-STABLE로 디지털자산 진출 박차…스테이블코인 상표권 12건 출원
- 신한금융, 10% 이상 가계대출 금리 일괄 인하…7만여 명 대상
- 美 증시, 포트 재편 흐름 속 혼조 마감
- 한화투자證, 비상장사 투자로 IB 활로 모색
- 생보 몸집 키우는 우리금융…농협 제치고 5위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수성구, 2026 수성국제비엔날레 향한 첫걸음...프리비엔날레 7월 9일 개최
- 2수성구-대구·경북 7개 대학 총학생회, ‘제7회 수성구청년축제’ 추진 업무협약 체결
- 3고창터미널 '도시재생사업 건축설계 공모 당선작' 공개
- 4순창군청 소프트테니스팀, 2025 순창오픈서 '금빛 질주'
- 5순창군, 상반기 대학생 생활지원금 8억 9550만 원 지급
- 6"군정 발전에 최선을 다할 것"…이정우 신임 장수군 부군수 취임
- 7임실군, 군민 보호 최우선 '폭염종합대책' 강력 추진
- 8광주은행, 외국인 유학생 전용 신용대출 상품 출시
- 9IBK기업은행, 국제금융협회 가입…"정책 협력 지평 넓혀"
- 10혼다코리아, ‘혼다 썸머 체크인 서비스 캠페인’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