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계약, 10건 중 8건은 중대형 법인보험대리점서

여러 보험회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보험대리점(GA·General Agency) 중 중대형 GA가 계속해서 몸집을 불리는 가운데 지난해 이들이 체결한 신계약 건수가 29% 가까이 늘었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중대형 GA 경영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중대형 GA는 178개로 전년(180개)보다 소폭 줄었지만, 소속 설계사는 17만2,844명에서 18만746명으로 4.6% 늘었다.
이와 달리 개인대리점과 보험사 소속 설계사는 각각 4,446명, 17만8,358명으로 한 해 전보다 17.9%, 5.6%씩 줄었다.
지난해 중대형 GA를 통해 체결된 신계약은 1,318만건으로, 전년(1,025만건)보다 28.6% 늘었다.
신계약 건수를 규모와 보험 종류로 나눠보면 대형 GA가 1,091만건으로 전체의 82.8%를, 손해보험이 1,194만건으로 90.6%를 차지했다.
상품 판매로 인한 중대형 GA 수수료 수입(매출액)은 총 6조934억원으로, 한 해 전(5조2,102억원)보다 17% 증가했다. 이는 신계약 판매가 늘고, 보험사가 판매촉진을 위해 GA에 지급하는 시책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단기 해지 등으로 발생한 환수금(4,388억원)은 전년(3,698억원)보다 18.7% 늘었지만, 전체 판매 건수와 수수료 수입이 늘면서 수수료 대비 환수금 비율은 전년(7.1%)과 비슷한 7.2%를 기록했다.
중대형 GA는 성장세를 유지한 가운데 불완전판매비율과 유지율이 개선됐다.
중대형 GA의 불완전판매 비율은 0.19%, 유지율(13회차)은 81.6%로, 전년(0.29%·80.0%)과 비교했을 때 각각 0.1%포인트, 1.6%포인트 개선됐다.
보험사 소속 설계사와 비교하면 불완전판매 비율은 0.06%포인트 높았지만, 유지율은 2.0%포인트 나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치로 따졌을 때 불완전판매 비율이 0.06%포인트 차이 나는 게 그렇게 크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쉽게 극복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며 “보험사 대비 높은 불완전판매 비율과 시책 중심의 영업, 경력 설계사 유입 등은 위험 요인”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보험대리점 상시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불건전 영업행위를 감시하고 평가 결과 취약한 GA에 대해서는 집중 검사를 할 방침이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티머니, '가나디 티머니카드' 2종 출시
- 현대해상, 출국 항공기 지연보장 특약 출시
- 한국거래소, 'FIA 포럼 부산 2025' 성료…"글로벌 경쟁력 강화"
- 태웅로직스, 부산신항에 특수화물 전문 물류센터 'T&C BUSAN’ 설립
-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누적 발급 30만좌 돌파
- NHN페이코-빗썸, 최대 10만원 상당 신규 회원 혜택 제공
- 보람상조, 국가고객만족도 상조서비스 부문 1위 선정
- 한울반도체 "MLCC 핵심공정 '2세대 MFS 마운터' 개발"
- 에스티큐브 "BTN1A1 타깃 면역항암 전략, 경쟁력 확인"
- 코스피, 사상 첫 3400 돌파…0.36% 오른 3407.78 출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