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계약, 10건 중 8건은 중대형 법인보험대리점서

여러 보험회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보험대리점(GA·General Agency) 중 중대형 GA가 계속해서 몸집을 불리는 가운데 지난해 이들이 체결한 신계약 건수가 29% 가까이 늘었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중대형 GA 경영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중대형 GA는 178개로 전년(180개)보다 소폭 줄었지만, 소속 설계사는 17만2,844명에서 18만746명으로 4.6% 늘었다.
이와 달리 개인대리점과 보험사 소속 설계사는 각각 4,446명, 17만8,358명으로 한 해 전보다 17.9%, 5.6%씩 줄었다.
지난해 중대형 GA를 통해 체결된 신계약은 1,318만건으로, 전년(1,025만건)보다 28.6% 늘었다.
신계약 건수를 규모와 보험 종류로 나눠보면 대형 GA가 1,091만건으로 전체의 82.8%를, 손해보험이 1,194만건으로 90.6%를 차지했다.
상품 판매로 인한 중대형 GA 수수료 수입(매출액)은 총 6조934억원으로, 한 해 전(5조2,102억원)보다 17% 증가했다. 이는 신계약 판매가 늘고, 보험사가 판매촉진을 위해 GA에 지급하는 시책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단기 해지 등으로 발생한 환수금(4,388억원)은 전년(3,698억원)보다 18.7% 늘었지만, 전체 판매 건수와 수수료 수입이 늘면서 수수료 대비 환수금 비율은 전년(7.1%)과 비슷한 7.2%를 기록했다.
중대형 GA는 성장세를 유지한 가운데 불완전판매비율과 유지율이 개선됐다.
중대형 GA의 불완전판매 비율은 0.19%, 유지율(13회차)은 81.6%로, 전년(0.29%·80.0%)과 비교했을 때 각각 0.1%포인트, 1.6%포인트 개선됐다.
보험사 소속 설계사와 비교하면 불완전판매 비율은 0.06%포인트 높았지만, 유지율은 2.0%포인트 나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치로 따졌을 때 불완전판매 비율이 0.06%포인트 차이 나는 게 그렇게 크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쉽게 극복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며 “보험사 대비 높은 불완전판매 비율과 시책 중심의 영업, 경력 설계사 유입 등은 위험 요인”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보험대리점 상시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불건전 영업행위를 감시하고 평가 결과 취약한 GA에 대해서는 집중 검사를 할 방침이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주시, APEC 상수도 준비백서 발간…19개 과제 총정리
- 2수성구, ‘청년도전지원사업’ 목표 초과 달성. . .122명 수료·16명 조기 취업
- 3수성구, 도심형 대형산불 대응 체계 및 산불 예방 인프라 강화
- 4수성구청 태권도선수단, ‘2025 한국실업최강전 전국태권도대회’서 개인전 금1·은1·동2 획득
- 5수성구새마을회, ‘2025년 사랑의 김장 나누기’ 개최
- 6부산도시공사, 인권경영시스템 첫 인증…ESG경영 실천 '성과'
- 7롯데마트, ‘윈터 해피딜’서 딸기 등 겨울 상품 할인
- 8이노션, 韓 최초 2025 원 아시아 '올해의 에이전시' 선정
- 9콩드슈,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입점…"콩뿌각 선봬"
- 10귀뚜라미보일러, ‘여성소비자가 뽑은 좋은기업 대상’ 25년 연속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