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분기 실적, 10분기만에 최악
삼성전자가 올 1분기에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다운턴(하락국면)’의 직격탄을 맞으며 최근 10분기 만에 최악의 실적을기록했다.
지난해 매분기 10조원을 넘어섰던 반도체 영업이익이 5조원을 밑돌았고, 또다른 부품 사업인 디스플레이 부문은 3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냈다. 특히 2분기에는 성적이 이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하반기에도 급격한 반등은 어려울 것으로 보여 2017년과 지난해에 기록했던 실적 신기록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올 1∼3분기(1분기) 연결 기준 확정 실적으로 매출 52조3,855억원, 영업이익 6조2,333억원을 각각 올렸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60조5,637억원)보다 13.5% 줄었으며, 전분기(59조2,650억원)보다도 11.6% 감소했다. 지난 2017년 1분기(50조5,500억원)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15조6,422억원)보다 무려 60.2%나 감소했으며, 전분기(10조8,006억원)에 비해서도 42.3% 줄어들면서 거의 ‘반토막’이 됐다. 지난 2016년 3분기(5조2,000억원) 이후 10분기 만에 최저치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인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25.8%)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1.9%로, 수익성도 급격히 악화했다. 역시 2016년 3분기(10.9%) 이후 가장 낮았다.
주력인 반도체 사업의 이익 급감이 실적에 ‘치명타’로 작용했다. 지난 2년간 실적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나왔던 ‘반도체 편중’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한 셈이다. 반도체 사업은 매출 14조4,700억원에 영업이익 4조1,200억원을 기록하며 2016년 3분기(3조3,700억원) 이후 최저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흑자가 5조원을 밑돈 것은 2016년 4분기(4조9,500억원) 이후 9분기 만에 처음이다. 반도체 영업이익률은 28.5%로, 역대 최고치였던 1년 전(55.6%)은 물론 업황 하락이 본격화했던 전분기(41.4%)와 비교해서도 ‘수직하락’했다.
디스플레이 사업은 올레드 패널 출하 감소와 LCD 패널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5,6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2016년 1분기(2,700억원) 이후 첫 분기 적자다.
스마트폰 등 IM(IT·모바일) 부문은 갤럭시 S10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분기(1조5,100억원)보다 영업이익이 50.3%나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3조7,700억원)에는 훨씬 못 미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자가전(CE) 부문은 지난해 같은 기간(2,800억원)의 2배 수준인 5,4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비교적 선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밖에 지난 2017년 약 9조원을 들여 인수한 자동차 전장(전자장비) 업체 ‘하만’은 매출 2조1,900억원에 영업이익 100억원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1분기 메모리 사업의 실적이 고객사들의 재고조정에 따른 수요 감소로 하락하고, 디스플레이 사업도 플렉시블 올레드 가동률 저하 등의 영향으로 부진하면서 전체적으로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시스템 반도체 분야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수요에 적극 대응한 데 힘입어 전분기보다 실적이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스마트폰 등 무선 사업의 경우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갤럭시S10 시리즈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매출은 크게 늘었으나 중저가 라인업 재편 등에 따른 비용, 신모델 출시를 위한 마케팅 비용 등으로 인해 수익 개선은 제한적이었다고 자평했다. 소비자가전 부문은 QLED, 초대형 등 프리미엄 TV 신제품 판매 확대로 지난해보다 실적이 비교적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전자의 올 1분기 시설 투자는 4조5,000억원으로, 반도체 부문이 3조6,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디스플레이 부문은 8,0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회사 측은 “올해 시설투자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시장 상황에 맞게 집행한다는 방침”이라면서 “메모리 분야는 중장기 수요 대응을 위해 인프라 투자는 지속하되 장비 관련 투자는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보경기자 lbk50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글로벌 보안 기업 이반티,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기능 강화
- 롯데칠성음료, 재생 플라스틱 '칠성사이다 500ml 페트병' 도입
- 한미약품 면역조절 항암 신약 HM16390, 글로벌 단독·병용 임상 순항
- 푸드테크 기업 넷, 고체형 토닉워터 ‘포켓토닉’으로 해외 진출
- KB국민카드, 겨울방학 맞이 해외호텔 예약 할인 진행
- 셀트리온,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 캐나다 허가
- 서울 노원구 디지털바이오시티 개발 본격화…더블역세권 ‘노원 스타파크리움’ 주목
- 바이킹랩, 韓 최초 히어로 ‘라이파이’ 생성형AI 기술로 부활
- 남원추어 미꾸야, 신제품 ‘남원추어 온추어탕’ 출시
- 크나우프 석고보드, 포항서 ‘희망의 집짓기' 활동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의회, 5분 자유발언서 도시 시정 전방위 개선 촉구
- 2글로벌 보안 기업 이반티,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기능 강화
- 32025 용담검무, 남원서 이틀간 전통·무예·예술의 장 열린다
- 4토스뱅크 3분기 누적 순익 814억…전년比 136.24% 증가
- 5롯데칠성음료, 재생 플라스틱 '칠성사이다 500ml 페트병' 도입
- 6부천시, 학교폭력 안전망 강화 ‘원팀’ 체제 구축
- 7오세현 아산시장, 진다례 통해 세대 존중과 화합 강조
- 8인천시, 이동형 홍보로 ‘안전한 도시’ 이미지 강화
- 9천안시, 밤이 머무는 도시 만든다
- 10당진시, ‘희망 2026 나눔 캠페인’ 출발…두 달간 집중 모금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