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에 은행 예·적금 이자, 다시 1%대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함에 따라 시중은행들도 후속 조치에 들어갔다.
예·적금 등 수신금리 상품에서 2%대는 사라지고 기본이 1%대인 시대가 다시 시작될 전망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이르면 이번 주부터 예·적금 금리를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인하 폭은 0.1∼0.3%p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 전에도 시중은행에서는 이미 2%대 이자를 주는 예금상품은 찾기 어려웠다. 이번에 추가 인하가 이뤄지면 본격적으로 연 1%대 금리 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대표 예금 상품의 1년제 기본금리는 최고 1.9%다.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이 기본금리 1.6%에 우대금리 0.11%p를 준다. KB국민은행의 ‘국민수퍼정기예금’은 기본금리 1.65%에 우대 0.3%p, ‘KB Smart 폰예금’은 기본 1.75%에 0.6%p의 우대금리를 준다.
우리은행의 ‘위비 슈퍼 주거래 정기예금’은 기본 1.90%에 최고 2.40%의 이자를, KEB하나은행은 ‘N플러스 정기예금’은 기본 1.80%에 최대 2.10%의 이자를 준다.
적금 상품은 1년제 기본금리가 최대 2.2%로 이자가 조금 후한 편이지만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
신한은행 ‘신한스마트 적금’은 기본금리 2.2%를 주고 별도 우대금리는 없다. 국민은행 ‘KB맑은하늘적금’은 기본 1.9%에 0.8%p 우대 금리를, ‘KB 1코노미 스마트적금’은 기본 2.15%에 우대 0.6%p의 금리를 제공한다.
우리은행 ‘위비 슈퍼 주거래 정기적금2’는 기본 1.40%의 금리에 최고 2.70%까지 이자를 준다. 하나은행 ‘급여하나월복리적금’은 기본 1.70%에 최고 3.0%까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시장에서는 이르면 내달께 금리 인하를 점쳤던 만큼, 각 은행은 ‘깜짝’ 금리인하에 부랴부랴 후속 조치를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개별 상품에 적용될 금리를 계산하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면서 신상품 개발과 수수료 조정 등의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종합적으로 거쳐야 하기에 일러야 이번 주 중후반에야 금리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고객 입장에선 어차피 예·적금에 들 계획이 있었다면 서두르는 게 좋다. 금리 조정이 이뤄지기 전에 가입하는 게 0.01%p의 이자라도 더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은행별로 특판상품을 내놓는 등 한시적인 마케팅에 나설 가능성이 있으니 시장 상황을 주시하는 게 좋다./고현정기자go8382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엔에스이엔엠, 걸그룹 ‘어블룸’ 본격 데뷔
- 산업銀, 베트남 하노이지점 설립 본격화…6년 만에 인가접수증 발급
- 신한은행,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5억달러 규모 발행
- 에코아이, NH투자증권과 공동 주최 ‘제1회 카본마켓 세미나’ 성료
- 이언주 "STO‧원화스테이블코인‧ETF 제도화 신속히 완결해야"
- 더블유에스아이, 자회사 이지메디봇 바이오 코리아 2025 참가
- 비에이치아이, 美 SMR 기업 토르콘과 협력 논의
- NH농협은행, 외국계은행과 함께 농촌 봉사활동
- 우리은행, 사람인과 손잡고 외국인 구직 지원 나선다
- 신한은행, 고객 위한 세금 가이드북 ‘신세계’ 발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엔에스이엔엠, 걸그룹 ‘어블룸’ 본격 데뷔
- 2정동영 의원, 주택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전주시, 주차난 숨통
- 3전북선관위,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운동 12일 시작
- 4쎌바이오텍, 1분기 영업이익 14억원… 전년 대비 27.1% 증가
- 5씨젠,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29% 증가… 흑자 전환 성공
- 6산업銀, 베트남 하노이지점 설립 본격화…6년 만에 인가접수증 발급
- 7신한은행,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5억달러 규모 발행
- 8미시간 주립대, 서울서 글로벌 동문회 개최…“지식·가치 연결하는 플랫폼”
- 9종근당, 기억력 감퇴 개선제 '브레이닝캡슐' 캠페인 런칭
- 10롯데에머티, 1분기 영업손 460억원…적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