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잦아들자 보복 소비株 ‘주목’
[앵커멘트]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0명 안팎으로 줄어들면서 위축됐던 산업이 다시 활기를 찾을지 기대감이 생기고 있습니다. 특히 5월 연휴를 앞두고 주식시장에서는 관련 종목들이 반등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소연기자의 보도입니다.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들며 보복 소비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5월 연휴를 앞두고 여행소비가 증가하면서 항공과 숙박 관련 종목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집니다.
제주항공은 이달 들어 20% 가까이 주가가 상승했고, 호텔신라와 파라다이스 등 역시 각각 17%, 30% 가까이 주가가 올랐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위축됐던 유통 소비에 대한 반등도 주가에 반영되는 모습입니다.
이달 들어 GS리테일과 BGF리테일은 각각 53%, 21% 주가가 급등했고, 신세계·현대백화점·롯데쇼핑 등도 23%~39% 주가가 오른 상황입니다.
화장품 업종의 상승도 주목됩니다.
5월 한 달 동안 진행될 K뷰티페어와 중국의 한한령 해제에 따른 소비 증가 기대감이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움츠러들었던 문화 생활도 활기를 찾을 것으로 기대되며 CJ CGV와 제이콘텐트리, 쇼박스 등의 주가도 이달 들어 평균 36%가량 상승했습니다.
미국 9.11테러와 사스, 신종플루 등 비경제적 요인으로 경제가 어려워졌던 과거 대부분 사례 당시 보복성 소비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증권업계는 이번 코로나19 이후에도 보복성 소비가 경기 반등을 이끌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소연입니다. /wown93@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 CET1 방어 나선 금융지주…기업대출 조이기로 방향 틀어
- ‘美 관세충격’ 코스피 2500 붕괴…낙폭 일부 만회
- 핵심 인재 떠나고 빼앗기고...토스證 김규빈 리더십 시험대
- 롯데카드, 실적 부진·MBK 리스크…새 주인 찾기 ‘난망’
- 또 구설 오른 키움證, 이번엔 주문 '먹통'…점유율 1위 흔들리나
- KB국민銀, 미얀마 지진 피해 구호 성금 1억4000만원 지원
- 하나금융, 중기·소상공인 대상 총 6.3조원 긴급 금융지원
- 산업은행, 원전산업성장펀드 1000억원 조성 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