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유동성 60% 기업대출로 '싹쓸이'…"투자 않고 쌓아둬"

[앵커]
'0%대 금리' 등과 맞물려 크게 불어난 시중 유동성의 60% 이상이 가계가 아닌 기업에 흘러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가 더 나빠질 것을 대비해 대출로 확보한 자금의 절반 가량을 투자가 아닌 예금으로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순영 기잡니다.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광의 통화량은 3,065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6%나 늘었습니다.
이 늘어난 통화량의 60% 이상은 기업 대출 때문이었고, 가계 대출 영향은 20%에 불과했습니다.
시중 자금의 대부분을 기업이 대출로 쓸어갔다는 얘깁니다.
기업 대출의 증가 속도도 전체 통화량이나 증가율을 웃돌 뿐 아니라 가계 대출보다 3배나 빨랐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춘 이유는 기업 투자와 가계 소비를 촉진하려는 의도인데 기업들은 이렇게 확보한 자금의 절반 가량을 투자하지 않고 그냥 쌓아두고 있습니다.
기업의 5월 말 예금 잔액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1월 말보다 46조7,000억원이나 불었는데, 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101조원 가량 늘어난 겁니다.
경기가 더 나빠질 것에 대비해 신규 대출액의 절반 정도를 금고에 그냥 쌓아두고 있다고 의심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기업 예금에 이익금 등이 반영되기 때문에 대출이 모두 예금으로 넘어갔다고 단정할 수 없지만, 만일 풀린 돈이 자산 시장에서만 맴돈다면 향후 빚 부담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돈맥경화' 흐름이 올 하반기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차를 두고서라도 풍부한 유동성이 투자로 이어져야 완화적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대로 기대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정순영입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 결제 즉시 현장서 리뷰·적립…네이버페이 ‘커넥트’ 출시
- 속도조절에도 불붙은 빚투…반대매매 주의보
- KB국민카드, 제1회 'KB 알레그로 정기연주회' 성료
- BNK부산은행, ‘수영구 사랑의 집 고쳐주기’ 발대식 개최
- 코람코자산운용, 김태원·윤장호 각자 대표체제 출범
- 제일기획, 안정적 실적 지속 전망…목표가 유지-한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NEXT K: 전북
- 2양양군 7급 공무원, 환경미화원 '갑질 논란' 일파만파...군은 "깊이 송구"
- 3포항시, 직원 소통·화합 행사 개최…취약지역 환경정비와 안전 배출 홍보도 진행
- 4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 포항에코빌리지 성공 조성 위한 선진지 견학 나서
- 5아태이론물리센터, 아태ai센터 포항유치필요성 논의...공감대 확산 본격화
- 6포항시, ‘2025 해양 모빌리티 안전 엑스포’서 북극항로 특화 전략 선보인다
- 7포항시, 호동근로자종합복지관·건설기능학교 새단장…근로자 복지 인프라 강화
- 8포항시, '2025 해피투게더 경북 in 포항' 개최. . .아이가 행복한 도시를 향한 시민 공감의 장 열려
- 9영천 아마모 봉사단, 취약계층 가구 위한 온정의 손길 전해
- 10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제17기 입주작가 릴레이 개인전 Part 3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