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유동성 60% 기업대출로 '싹쓸이'…"투자 않고 쌓아둬"

[앵커]
'0%대 금리' 등과 맞물려 크게 불어난 시중 유동성의 60% 이상이 가계가 아닌 기업에 흘러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가 더 나빠질 것을 대비해 대출로 확보한 자금의 절반 가량을 투자가 아닌 예금으로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순영 기잡니다.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광의 통화량은 3,065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6%나 늘었습니다.
이 늘어난 통화량의 60% 이상은 기업 대출 때문이었고, 가계 대출 영향은 20%에 불과했습니다.
시중 자금의 대부분을 기업이 대출로 쓸어갔다는 얘깁니다.
기업 대출의 증가 속도도 전체 통화량이나 증가율을 웃돌 뿐 아니라 가계 대출보다 3배나 빨랐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춘 이유는 기업 투자와 가계 소비를 촉진하려는 의도인데 기업들은 이렇게 확보한 자금의 절반 가량을 투자하지 않고 그냥 쌓아두고 있습니다.
기업의 5월 말 예금 잔액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1월 말보다 46조7,000억원이나 불었는데, 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101조원 가량 늘어난 겁니다.
경기가 더 나빠질 것에 대비해 신규 대출액의 절반 정도를 금고에 그냥 쌓아두고 있다고 의심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기업 예금에 이익금 등이 반영되기 때문에 대출이 모두 예금으로 넘어갔다고 단정할 수 없지만, 만일 풀린 돈이 자산 시장에서만 맴돈다면 향후 빚 부담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돈맥경화' 흐름이 올 하반기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차를 두고서라도 풍부한 유동성이 투자로 이어져야 완화적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대로 기대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정순영입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M뱅크, 충청권 지역상생 보증재원 10억원 특별출연
- 신한銀·한국석유공사, 퇴직연금 담보설정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 아우딘퓨쳐스, '네오젠' 타임스퀘어 광고·울타뷰티 입점 진행
- 우리銀,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 한켐, '초음속 발사체 추진제 원료 소재' 조기 생산 구축
- 손오공, '라부부' 열풍에 팝마트 로보샵 매출 증가
- 미래에셋, 고객자산 1000조 돌파
- 카카오페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결제 수단 확대…편의성 대폭 강화
- SK스퀘어, 적극적 주주 환원 긍정적…목표가↑-NH
- [부고] 오익근(대신증권 대표이사 사장)씨 모친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iM뱅크, 충청권 지역상생 보증재원 10억원 특별출연
- 2남원시, 식용 곤충 산업화 전략 모색…민·관·학 협력 강화
- 3신한銀·한국석유공사, 퇴직연금 담보설정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 4아우딘퓨쳐스, '네오젠' 타임스퀘어 광고·울타뷰티 입점 진행
- 5우리銀,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 6두산에너빌리티, 5600억원 규모 당진 LNG 저장탱크 공사 수주
- 7대동모빌리티, 일본 골프 카트 시장 공략 본격화
- 8진에어, ‘모두의 지인 에어’ 프로모션 진행…지인 초청 시 할인
- 9파킨슨병 조기 진단의 중요한 단서 ‘장내 세균’
- 10오픈런에 품귀현상까지…식약처 “마운자로˙위고비 고도비만에 써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