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유동성 60% 기업대출로 '싹쓸이'…"투자 않고 쌓아둬"

[앵커]
'0%대 금리' 등과 맞물려 크게 불어난 시중 유동성의 60% 이상이 가계가 아닌 기업에 흘러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가 더 나빠질 것을 대비해 대출로 확보한 자금의 절반 가량을 투자가 아닌 예금으로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순영 기잡니다.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광의 통화량은 3,065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6%나 늘었습니다.
이 늘어난 통화량의 60% 이상은 기업 대출 때문이었고, 가계 대출 영향은 20%에 불과했습니다.
시중 자금의 대부분을 기업이 대출로 쓸어갔다는 얘깁니다.
기업 대출의 증가 속도도 전체 통화량이나 증가율을 웃돌 뿐 아니라 가계 대출보다 3배나 빨랐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춘 이유는 기업 투자와 가계 소비를 촉진하려는 의도인데 기업들은 이렇게 확보한 자금의 절반 가량을 투자하지 않고 그냥 쌓아두고 있습니다.
기업의 5월 말 예금 잔액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1월 말보다 46조7,000억원이나 불었는데, 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101조원 가량 늘어난 겁니다.
경기가 더 나빠질 것에 대비해 신규 대출액의 절반 정도를 금고에 그냥 쌓아두고 있다고 의심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기업 예금에 이익금 등이 반영되기 때문에 대출이 모두 예금으로 넘어갔다고 단정할 수 없지만, 만일 풀린 돈이 자산 시장에서만 맴돈다면 향후 빚 부담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돈맥경화' 흐름이 올 하반기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차를 두고서라도 풍부한 유동성이 투자로 이어져야 완화적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대로 기대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정순영입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기로의 iM금융…순익 급증 불구 '정책 전환' 난관
- 韓美 관세 협상 게임체인저?…조선株 줄줄이 신고가
- 본업 부진에도…투자로 선방한 금융지주 보험사
- 미래에셋운용 ‘TIGER 200 ETF’, 코스피200 추종 ETF 수익률 1위
- NH농협금융, 하반기 "본업 경쟁력 강화·미래 성장동력 확보"
- 한화시스템, 2분기 영업이익 335억원…전년 比 60% 감소
- 대성파인텍, '9.81파크 제주’ 누적 이용객 250만명 돌파
- 트러스톤운용 "태광산업 금융당국 진정서, 사실관계 심각히 왜곡"
- CSA코스믹, CB 납입 완료…잠정 대주주엔 AI社 스위트케이
- 나라셀라, K-증류주 TF팀 가동…‘K-푸드 불닭 신화’ 재현 도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경찰서, 집중호우 재난상황 112신고자 '감사장·포상금' 수여
- 2김정헌 인천 중구청장 “청라하늘대교 명칭, 주민 민의 무시”
- 3인천시,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소득 무관 확대
- 4인천경제청, 스타트업펀드 1호 투자 성과 공유
- 5이영훈 인천 미추홀구청장, 직원 격려행사 열어
- 6유정복 인천시장, 행정체제개편 설명… “공무원이 변화의 중심”
- 7고창군, 주요 관광지 '여행우산 대여 서비스' 운영
- 8고창군, 제1회 고창군 청년상 후보자 추천 접수
- 9노란봉투법, 국회 8부 능선 넘었다…재계 ‘반발’
- 10“베지밀 팔아 남는 게 없다”…정식품, 체질 개선 구슬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