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스트 엔터테인먼트, 사회적기업 디스에이블드 프로젝트 진행ㆍㆍ철구·외질혜 참여

유시스트 엔터테인먼트가 지난 6월 MOU를 맺은 사회적 기업 디스에이블드와 콜라보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디스에이블드는 발달장애를 가진 39명의 예술 작가들과 함께 굿즈 제작, 아트 큐레이션 서비스,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등을 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발달 장애인 예술가들의 작품이 녹아있는 제품을 판매하며 작품비 외에도 판매되는 상품의 수익금 중 일정 부분을 작가에게 되돌려주어 원활한 작품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이번 ‘유시스트 엔터테인먼트x디스에이블드’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유시스트 엔터테인먼트 소속 크리에이터 덕자, 김이브와 더불어 크리에이터 철구, 외질혜가 참여하여 발달장애 예술가 양시영 작가와의 만남이 성사되었다. 양시영 작가가 각 크리에이터의 특색을 살려 작품을 그리고 이는 유리컵, 그립톡, 마우스패드, 보조배터리로 굿즈화 하여 판매될 예정이다.
디스에이블드 양시영 작가는 21세로 현재까지 100여점의 작품을 그렸으며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내면의 섬세한 감정을 캔버스 위에서 그려내고 있다. 양시영 작가는 이번 유시스트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들과의 콜라보레이션에 대해 “자유로운 상상력과 창의성으로 재미와 감동을 준다는 공통점으로 크레이어터와의 콜라보는 친구가 되는 과정과 같다”고 전했다.
이번 콜라보 프로젝트를 통해 판매한 크리에이터 굿즈 수익금은 한국장애예술인협회에 전액 기부될 예정이다. 유시스트 엔터테인먼트와 디스에이블드 측은 "최근 정부에서 장애 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장애예술인협회에서 추진하는 '장애 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활동에 힘을 보태고자 한다"고 밝혔다.
유시스트 엔터테인먼트 박화랑 사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크리에이터 철구, 외질혜, 덕자, 김이브님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영향력이 발달장애 예술 작가님과의 콜라보를 통해 사회에 선하게 전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프로젝트의 취지를 밝혔다. 이어 “발달장애 예술가들의 꿈을 응원하는 디스에이블드와 함께 좋은 취지로 협업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수익금 전액을 기부하는 사회공헌 프로젝트인 만큼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각 크리에이터의 아프리카tv 방송, 유튜브를 통해서 공개 될 예정이며 크리에이터 굿즈는 디스에이블드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유연욱 기자 ywyoo@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연세의대-가톨릭의대 연구팀, 치료제 적정 용량 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
- 서울성모병원 정양국 교수, 아시아태평양 근골격종양학회장 취임
- 광동제약, 녹용당귀등 복합추출물… '전립선 증상 개선에 도움'
- 도심 속 숲 곰팡이, 다양할수록 알레르기 염증 줄어
- 서울아산병원, 10년간 중동 환자 3만5000명 치료…'K의료' 위상 높여
- 경희대병원 심가양 교수, 대한재활의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 오십견, 초기에 잡아야 ‘평생 어깨’ 지킨다
- 세브란스병원 남효석 교수, 뇌경색 진료 지침 개정 이끌어
- 서울성모병원 연구팀,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예측 바이오마커 규명
- 부천세종병원, 선천성 심장병 필리핀·캄보디아 환아 3명 의료나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청정 갯벌의 선물'…보성군, 제21회 벌교꼬막축제 개막
- 2파라타항공, 24일 밸리카고 첫 운항…탑재율 100%
- 3한–EU, 자유무역 중요성 재확인…철강·디지털 통상 등 현안 논의
- 4우원식 국회의장, 베트남 당 서기장과 회동…“경제 협력 확대 기대”
- 5미국, 엔비디아 ‘H200’의 중국 수출 허용 검토…대중 규제 완화 신호?
- 6일본 정부,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에 11조원 추가 지원…"반도체 부활"
- 7HD현대건설기계, 영천시에서 제17호 국가유공자 하우스 리모델링 준공식 개최
- 8신성일기념관 개관식 개최...영천에 새로운 문화 랜드마크 탄생
- 9김천교육지원청, Wee센터 돋움·디딤 프로그램 활동 평가 및 간담회 운영
- 10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빛과 쇠’의 울림…7만 5천여 명 다녀가며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