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공공재개발 후보지 16곳·2만호…한남·아현 제외

[서울경제TV=지혜진기자]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로 16곳이 선정됐다.
서울시는 29일 국토교통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등과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후보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상계3 △천호A1-1 △본동 △금호23 △숭인동1169 △신월7동-2 △홍은1 △충정로1 △연희동721-6 △거여새마을
△전농9 △중화122 △성북1 △장위8 △장위9 △신길1 등을 2차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역세권 주변, 5만㎡ 이상 대규모 부지에 노후주거지(연립‧다세대‧단독주택)가 밀집돼 있어 실수요자들이 원하는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곳들을 중심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후보지를 통해 서울시는 약 2만호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1차 후보지 4,700호를
더하면 공공재개발을 통해 약 2만4,700호를 확보한 셈이다. 이는 공공재개발 목표치로 삼은 4만호에 못 미치는 수치다.
선정위원회는 이번에 선정하지 않은 곳 중 △번동148 △하왕십리 △아현1 △대흥5 △용두3 △신길밤동산
△신길16 △도림동26-21 등 8곳은 보류로 남겨뒀다. 이들은 용적률·높이제한 완화만으로는
사업성 개선에 한계가 있어 실현가능성이 부족하거나 사업방식에 대한 주민 이견 등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2차 후보지 선정은 주민 반대가 절반이 넘는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 사업지로 선정했던 1차 발표 때보다는 보수적인 양상이다. 1차
후보지 선정 때는 동의율이 부족하더라도 소유주들을 설득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까지 선정하며 공급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1차 후보지는 전체 신청지 70곳
중에서 정비계획안이
마련돼 있는 기존 정비구역 12곳 중에서 뽑았다. △흑석2 △양평13 △양평14 △용두1-6 △신설1 △봉천13 △신문로2-12 △강북5 등 8곳이 선정됐다.
사업 시행자인 LH와 SH는
신규구역 후보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현장설명회를 열어 개략적인 정비계획과 사업성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자치구와 LH, SH는 연내 정비계획 수립 착수를 목표로 이르면
2022년 말 정비구역 지정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heyj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HD현대일렉트릭, 초대형 특수변압기 시장 ‘정조준’
- ㈜한화, MSCI ESG 평가 'AA등급' 획득…2년 연속 상승세
- 혼다코리아, 라이딩 시즌 맞이 4월 모터사이클 구매 프로모션
- 마드라스체크, 국내 대표 협업툴 '플로우' 10주년 기념
- 공영홈쇼핑, 봄 맞이 ‘쿠폰이 활짝∙적립이 활짝’ 이벤트
- 벤처기업 54.7%, 상법 개정안 부정적
- 중진공, 통상변화대응지원 사업 참여기업 모집
- DB손해보험, 소비자평가단 23기 발대식 개최
- 한국타이어, 기아 픽업트럭 ‘타스만’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 이도수향촌, '산불 피해 지원' 5000만원 상당 추어탕 기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내친구교육넷 이중화 점검 완료
- 2iM뱅크(아이엠뱅크)–경북신용보증재단, ‘경상북도 상생금융지원 업무협약’ 체결
- 3권재득 재대구영덕향우회장, 산불복구 성금 6천만원 기부
- 4대구 북구, ‘로컬리지 LAB’ 실험팀 모집
- 5대구 중구, 2025년 관광특구 활성화 지원 공모사업 최종 선정
- 6대구광역시, 취준대학생 위한 맞춤형 패키지 지원
- 7대구행복진흥원-대구장애인체육회, 장애인스포츠단 활성화 논의
- 8경북도, 비료·농자재 구입용...200억원 무이자 긴급 지원
- 9경북도, 초대형 산불 피해 조기 복구 위한 ‘신속피해조사단’ 운영
- 10신한은행, 2025 영 아티스트 페스타 '섬광 FLICKER’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