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둔화에도 뉴욕증시 일제히 하락…다우 0.84%↓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뉴욕 증시가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하회했지만 경기 둔화 우려에 일제히 하락했다.
14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2.06포인트(0.84%) 내린 3만4,577.5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25.68포인트(0.57%) 하락한 4,443.05를 기록했고, 나스닥은 67.82포인트(0.45%) 떨어진 1만5,037.76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14일) 시장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주목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C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보다 0.3% 오르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5.3% 올랐는데, 이는 시장 예상치인 전월 대비 0.4%와 전년 대비 5.4%를 모두 소폭 하회하는 수치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된 것은 중고차 가격이 전달 대비 1.5%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8월 CPI가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다는 소식에 테이퍼링(자산매입규모 축소)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되며 장 초반 상승흐름을 보이기도 했던 뉴욕증시는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 마감했다.
아이폰13을 발표한 애플이 0.96%의 조정을 받았고, 에너지, 은행, 산업 등 경기민감주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국제 유가는 소폭 상승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0.01달러(0.01%) 오른 배럴당 70.4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복현 금감원장 사의 표명…“부총리·한은 총재 만류”
- 法 “교보생명, ICC 강제금 효력 없다”…풋옵션 새국면
- ETF 수수료 ‘꼼수’ 쓴 운용사들…당국, 결국 칼 뺐다
- 금감원, PEF 대대적 검사한다지만…MBK ‘맹탕 검사’ 우려
- 크라토스 “전국 남녀 30% 이상 AI 관상·운세 어플 경험”
- 코스피 상장사 작년 영업익 62% 급증…흑자기업도 증가
- 화재보험협회, 대형산불 피해 복구 성금 2000만원 기부
- 미래에셋證, ‘채권 투자와 예술의 만남’ 마스터스 아카데미 개최
- 하나금융그룹,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 1억원 긴급 지원
- iM뱅크, 경북신용보증재단과 ‘경북도 상생금융지원’ 협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