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긴축시계 빨라진다…나스닥 2.26%↓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뉴욕증시가 레이얼 블레이너드 연준(연방준비제도) 이사의 대차대조표 조기 축소 발언에 일제히 하락했다.
5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0.70포인트(0.80%) 내린 3만4,641.18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57.52포인트(1.26%) 떨어진 4,525.12를 기록했고, 나스닥도 328.39포인트(2.26%) 급락한 1만4,204.17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5일) 시장은 블레이너드 연준 이사의 발언과 러시아에 대한 서방국가의 제재 등에 주목했다.
블레이너드 이사는 이날 연설에서 이르면 5월에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이른바 ‘양적 긴축’에 나설 수 있음을 밝혔다. 블레이너드 이사는 특히 5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후 대차대조표 축소가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 전하며 긴축 속도가 빨라졌음을 시사했다.
이에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장중 한 때 연 2.56%를 넘는 등 급등세를 보였고 유틸리티, 필수소비재를 제외한 대다수 업종의 약세를 불러왔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의 하나로 석탄 수입 금지 방안을 제안하는 등 러시아에 대한 서방국가의 추가 제재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제유가는 중국 상하이의 봉쇄조치가 지속되며 수요 위축 우려에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의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32달러(1.3%) 내린 배럴당 101.9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복현 금감원장 사의 표명…“부총리·한은 총재 만류”
- 法 “교보생명, ICC 강제금 효력 없다”…풋옵션 새국면
- ETF 수수료 ‘꼼수’ 쓴 운용사들…당국, 결국 칼 뺐다
- 금감원, PEF 대대적 검사한다지만…MBK ‘맹탕 검사’ 우려
- 크라토스 “전국 남녀 30% 이상 AI 관상·운세 어플 경험”
- 코스피 상장사 작년 영업익 62% 급증…흑자기업도 증가
- 화재보험협회, 대형산불 피해 복구 성금 2000만원 기부
- 미래에셋證, ‘채권 투자와 예술의 만남’ 마스터스 아카데미 개최
- 하나금융그룹,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 1억원 긴급 지원
- iM뱅크, 경북신용보증재단과 ‘경북도 상생금융지원’ 협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