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혁 엔비티 CFO “올해 '포인트 플랫폼' 고도화로 스케일 업”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코스닥 상장사 엔비티가 주력 사업 부문인 포인트 플랫폼 스케일업(규모 확대)에 나선다.
엔비티는 국내 포인트 플랫폼 1위 기업으로 캐시슬라이드(B2C)와 에디슨오퍼월(B2B)를 서비스 운영 중이다.
'캐시슬라이드'는 스마트폰 잠금화면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광고와 콘텐츠를 제공하며, 2012년에 출시돼 현재까지 약 2,700만 누적 회원수를 보유하고 있다. B2B 제휴 포인트 네트워크 '애디슨 오퍼월'은 적립된 포인트로 제휴 매체사 내에서 유료 콘텐츠를 결제하거나 상품 구매가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네이버웹툰과 네이버페이, 토스, 카카오T 등의 제휴 플랫폼에서 운영 중이다.
8일 엔비티 김승혁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 성과를 토대로 올해 포인트 플랫폼 ‘스케일업’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혁 CFO는 올해 엔비티 세부 경영 계획에 대해 B2B 사업 부문에선 △애디슨(Adison) △DSP(Demand Side Platform: 광고 구매자 플랫폼) 활성화 △관심사 기반의 사용자 경험 개선을 강조했다. 또한 B2C 대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캐시슬라이드 최적화를 기반으로 △신규 플랫폼 육성 △마케팅 직영업 강화 △커머스의 실험과 탐색 등을 대표 항목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주력 매출 사업군인 플랫폼 애디슨과 캐시슬라이드를 고도화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포인트 사업 생태계를 확장해 국내 포인트 플랫폼 시장 선도기업 입지를 한층 더 발전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수익성 증대를 위한 핵심과제로 꼽혀왔던 커머스 사업 부문도 적극적인 확장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승혁 CFO는 “지난해 창사이래 최대 재무실적이 기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도 국내 포인트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해외 선진 사례를 토대로 우리가 새롭게 개척해야 할 잠재 수요 역시 무궁무진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같은 상황 속에서 올해 핵심 경영전략인 ‘포인트 플랫폼의 스케일업’은 엔비티의 더 나은 도약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엔비티는 국내 포인트 플랫폼 1위 사업자다. 대표 서비스로는 B2B 사업 부문인 국내 최대 오퍼월 네트워크 플랫폼 ‘애디슨(Adison)’을 비롯해 주요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B2C 사업 플랫폼 ‘캐시슬라이드’를 운영 중에 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분기 최대 실적 행보를 이어온 엔비티의 2021년 연간 매출액은 824억원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1억원으로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하나금융, 계열 정비 박차…자산운용도 직속으로
- 캐롯 품은 한화손보…車보험 수익성 개선 과제
- '9만전자·40만닉스'…코스피, 사상 첫 3500 돌파
- 더핑크퐁컴퍼니, '베베핀·씰룩' 일본 5대 지상파 TV 진출
- 마스턴투자운용, 상업용 부동산 분석 담은 ‘마스턴 인사이트’ 공식 런칭
- 미건라이프사이언스, 보급형 척추온열기 '리본라이트' KC인증 획득
- 나라셀라, 하반기 '온·오프 채널' 공급 물량 확대
- BNK부산은행, 추석 맞아 '부산역·진영휴게소 이동점포' 운영
- 강태영 NH농협은행장 "추석 연휴 기간 사이버 보안 총력"
- BNK신용정보, 추석 맞아 '행복한 희망나눔' 행사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티웨이, 프랑크푸르트 취항 1주년…10만여명 탑승
- 2정부 “추석연휴, 정보시스템 복구 골든타임”
- 3고속도로 통행료 '상습 미납' 5년간 256만대 달해
- 4네이버, 추석 지도서비스 업데이트..."신호등 본다"
- 5스타벅스 커피 쿠폰, '추석연휴' 인기 모바일 상품권 1위
- 6금감원, 연말 '소비자보호' 키워드 기반 조직 개편
- 7"SKT, 해킹 여파 제한적…AI 동력 기업가치 재평가"
- 8르노코리아 전기차 ‘세닉’ 250만원 특별 구매지원금
- 9국민연금 가입자 상반기 26만명 줄어…수급자는 10만명 증가
- 10뉴욕증시, 연방정부 셧다운 불구 연일 '최고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