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그룹, 지난해 전기차 인도량 26% 증가

[서울경제TV=성낙윤기자] 폭스바겐그룹은 공급 제약과 일시적인 생산 중단에도 불구하고 2021년 대비 26% 증가한 57만2,100대의 전기차가 지난해 전 세계 고객에게 인도됐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체 인도량에서 BEV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도 5.1%에서 6.9%로 증가했다. 폭스바겐그룹은 유럽시장 내 BEV 부문에서 선두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해당 부문 4위를 차지했다.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인 곳은 중국시장으로 BEV 인도량이 전년비 68% 증가했다. 앞서 언급한 어려움으로 인해 글로벌 전체 인도량은 전년 대비 7% 감소한 830만 대를 기록했다. 작년 하반기에 공급 상황이 다소 개선되어 인도량이 전년 대비 12% 늘었지만, 상반기 전년비 22%의 손실을 만회하지는 못했다. 현재 그룹의 주문량은 서유럽에서만 180만 대, 그중 BEV가 31만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힐데가르트 보트만(Hildegard Wortmann) 판매 확대 위원회 멤버는 “우리 브랜드들은 지난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도 고객 인도와 관련해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주었다”며, “특히 전동화로의 변화가 브랜드 전반에 걸쳐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고, 역풍을 뚫고 전체 전기차 점유율 목표치인 7~8%에 도달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높은 주문량은 고객이 우리의 강력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호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며, “이는 거시경제 약화와 지속적인 공급 부족에도 불구하고 2023년에 대한 확신을 주고, 공급 부족 이슈는 연내 단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nyseo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한항공, MRO·무인기 강화…신사업 확대 속도
- 금호건설, 지방 미분양 ‘한숨’…신도시 공공주택 ‘활로’
- 포스코, 인도에 합작 제철소…“연 600만톤 생산”
- SK, 이천포럼 개막…최태원 “소버린 AI 만든다”
- K조선, 필리핀·브라질 등 투자 확대…현지 협력 박차
- “AI 쓰면 돼”…판교 IT업계 고령화 가속
- ‘벼랑 끝’ 석화업계, 칼 빼드는 정부 해법은
- 영풍, 올 상반기만 1504억 영업손실…‘환경오염’ 조업정지 등 '환경법 위반' 영향
- 중기중앙회, 서울시각장애인복지관에 온누리상품권 1000만원 전달
- 현대차·기아 협력사에 6300억 우대 금융…관세 충격 완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