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부실시공 이슈 확산…후분양 단지 관심↑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아파트 부실시공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분양시장에서 ‘후분양’ 단지가 주목받고 있다.
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하자심사 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공동주택 하자 조정 신청 건수는 총 2만4128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2018년 3818건이었던 하자 신청 건수는 2021년 7686건을 기록, 3년 만에 2배 이상 급증했다.
이에 따라 ‘후분양’ 아파트가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후분양이란, 공정률이 60 ~ 80% 이상 진행된 시점에 예비 수요자가 해당 아파트를 확인하고 분양받을 수 있는 제도다. 골조가 세워진 이후에 분양이 진행되는 만큼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자재 변경 등의 우려가 적고, 부실시공이나 하자 등의 문제가 생길 확률이 선분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다. 수분양자 입장에서도 녹지면적이나 조망권 등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분양받을 수 있는 만큼, 우수한 상품성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 최근 공급된 후분양 단지들은 대다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7월 경기도 평택시에서 분양한 ‘호반써밋 고덕신도시 3차’ 는 특별공급을 제외한 170가구 모집에 1만3996명이 청약통장을 사용해 평균 82.3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지난 9월 부산 남구에 공급된 ‘더 비치 푸르지오 써밋’ 역시 평균 22.25대 1로 청약을 마쳤다.
이에 앞서 올 상반기인 6월 서울 강동구에서 분양해 평균 36.9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둔촌 현대수린나’ 를 비롯, 5월 경기 용인시에 공급된 ‘e편한세상 용인역 플랫폼시티’ (4.39대 1) 와 4월 경기 남양주시에서 분양한 ‘해링턴 플레이스 다산파크’ (4.24대 1) 등도 양호한 경쟁률을 기록하며 청약을 마친 바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후분양 아파트의 경우, 통상 입주까지 6개월 ~ 1년 정도만 소요돼 빠른 ‘내 집 마련’ 이 가능한데다, 재산권을 빠르게 행사할 수 있어 환금성도 높게 평가된다” 며 “최근 부실시공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분양업계에서도 수요자 확보를 위해 후분양 방식을 채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전국에서도 후분양 단지가 속속 공급되고 있다.
GS건설은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일원에 시공하는 ‘고촌센트럴자이’ 를 이달 중 분양할 예정이다. 아파트 전용 63 ~ 105㎡ 총 1297가구 및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남향 위주의 단지 배치를 통해 채광과 일조권 효율을 높였고,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4베이 맞통풍 구조 (일부 타입 제외) 를 적용했다. 일부 타입은 알파룸·현관 팬트리 등 특화설계도 다수 선보인다. 시니어 클럽을 비롯, 작은도서관·주민운동시설·어린이집·돌봄센터 등으로 구성된 입주민 전용 특화 커뮤니티인 ‘클럽 자이안’ 도 조성된다. 입주는 2024년 6월 예정이다.
DL이앤씨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신도시에서 민간참여 공공분양 단지인 ‘동탄레이크파크 자연&e편한세상’ 을 후분양으로 선보인다. 아파트 전용 74 ~ 115㎡ 총 1227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74·84㎡ 907가구는 공공분양으로, 전용 95·115㎡ 320가구는 민간분양으로 공급된다. 스카이라운지·스카이 게스트하우스 등 커뮤니티가 들어서며, 입주는 2024년 6월 예정이다.
부영주택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일원에 조성하는 ‘부산신항 마린애시앙’ 을 분양 중이다. 아파트 전용 59 ~ 84㎡ 총 484가구 및 부대복리시설 등으로 구성됐다. 준공 후 공급되는 ‘후분양’ 아파트로, 즉시 입주가 가능하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매출 축소에도 수익 개선”…건설사 3분기 실적 ‘활짝’
- ‘코리아패싱’ 논란 SK바이오팜 뇌전증약… “11월 초 허가”
- 지마켓, ‘셀러·고객·AI’ 7000억 투자…재도약 드라이브
- 삼성, 中企·지역과 함께 성장해 온 스마트공장 10주년 맞아
- LG엔솔·스텔란티스 加 합작공장, ‘안전 위반’ 논란
- 앱클론, CAR-T 치료제 ‘네스페셀’ 호주 특허 등록…글로벌 7개국 지적재산권 확보
- ‘SM 주가조작’ 김범수 무죄…카카오, AI·신사업 속도
- KT 김영섭 “사태 수습 후 책임”…위약금 면제 ‘불투명’
- 갤럭시S26, 삼성 ‘엑시노스2600’ 탑재 확정
- 원텍, 자사주 신탁 계약 체결…"책임 경영 실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을, 경주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 .경주시, ‘2025 황금카니발’ 개최
- 2한국수력원자력, 저선량방사선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 3대구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금 11월 1일부터 접수
- 4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 "대구시 금고 운영…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 필요"
- 5이영애 대구사의원, '대구시교육청 올바른 국어 사용 조례안' 대표 발의
- 6대구시의회, 엑스코 사업 분야 확대로 경쟁력 제고 나서
- 7포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블루오션', ‘민간공원 특례사업 초과이익 환수 정책 세미나’ 개최
- 8김진태 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만나 ‘제5차 국가철도망’신규사업 반영 적극 건의
- 9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10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