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수소 생태계에 장기 베팅…“시장 선점”

경제·산업 입력 2025-05-22 17:24:22 수정 2025-05-22 18:02:29 이혜란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월드 하이드로젠 서밋’ 참가
3월, 정관에 ‘수소 사업’ 추가…전사적 진출 공식화
中 광저우·韓 울산에도 연료전지 생산기지 구축
美에 ‘HTWO 에너지 서배너’…청정 물류 운송 ‘탄력’
7년 만 신형 ‘넥쏘’…수소차 시장 재공략 시동


[앵커]
현대자동차그룹이 수소 에너지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수소위원회 공동 의장 자격으로 국제 무대에 나선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수소 산업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는데요. 수소 생산부터 상용차 확대까지, 수소 시장 선도 의지를 담은 현대차그룹의 전략을 이혜란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현대차그룹 장재훈 부회장이 21일(현지시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열린 ‘월드 하이드로젠 서밋 2025’에 수소위원회 공동 의장 자격으로 참석해 “탈탄소는 거부할 수 없는 큰 흐름”이라며 수소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장 부회장은 이날 패널 세션에서 “수소 경제 전환을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규모의 확대와 표준화”라며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 전사적 역량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3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정관에 ‘수소 사업’을 추가하고, ‘에너지 수소 사업본부’를 신설해 그룹 내 수소 사업 컨트롤타워를 세웠습니다. 이 조직은 장 부회장이 총괄하는 기획조정담당 산하에 편제됐습니다. 수소 사업을 그룹 전략 사업으로 삼겠다는 메시지를 명확히 한 것이란 평가가 나옵니다.

현대차는 국내외 수소 인프라 구축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중국 광저우에 2023년 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 생산기지’를 설립한 데 이어, 국내에선 울산에 2028년 양산을 목표로 차세대 연료전지 공장을 착공할 예정입니다.

미국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인근에는 대형 상용차 전용 시설 ‘HTWO(에이치투) 에너지 서배너’를 조성하는데, 이 시설 가동으로 북미시장에서 전개 중인 청정 물류 운송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승용차 부문에서도 현대차는 최근 7년 만에 상품성을 개선한 신형 ‘넥쏘’를 공개했습니다. 올 상반기 국내를 시작으로 글로벌 수소차 시장 재공략에 나선다는 전략.

현대차는 수소의 생산부터 충전 인프라, 승용차와 상용차까지 전 밸류체인에 걸쳐 투자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단기적인 수익을 쫓기보단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에 무게를 두고 있는 만큼, 향후 수소 산업이 본궤도에 오를 시기를 대비한 선제적 포석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혜란 기자

rann@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