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수소 생태계에 장기 베팅…“시장 선점”
경제·산업
입력 2025-05-22 17:24:22
수정 2025-05-22 18:02:29
이혜란 기자
0개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월드 하이드로젠 서밋’ 참가
3월, 정관에 ‘수소 사업’ 추가…전사적 진출 공식화
中 광저우·韓 울산에도 연료전지 생산기지 구축
美에 ‘HTWO 에너지 서배너’…청정 물류 운송 ‘탄력’
7년 만 신형 ‘넥쏘’…수소차 시장 재공략 시동

[앵커]
현대자동차그룹이 수소 에너지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수소위원회 공동 의장 자격으로 국제 무대에 나선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수소 산업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는데요. 수소 생산부터 상용차 확대까지, 수소 시장 선도 의지를 담은 현대차그룹의 전략을 이혜란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현대차그룹 장재훈 부회장이 21일(현지시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열린 ‘월드 하이드로젠 서밋 2025’에 수소위원회 공동 의장 자격으로 참석해 “탈탄소는 거부할 수 없는 큰 흐름”이라며 수소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장 부회장은 이날 패널 세션에서 “수소 경제 전환을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규모의 확대와 표준화”라며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 전사적 역량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3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정관에 ‘수소 사업’을 추가하고, ‘에너지 수소 사업본부’를 신설해 그룹 내 수소 사업 컨트롤타워를 세웠습니다. 이 조직은 장 부회장이 총괄하는 기획조정담당 산하에 편제됐습니다. 수소 사업을 그룹 전략 사업으로 삼겠다는 메시지를 명확히 한 것이란 평가가 나옵니다.
현대차는 국내외 수소 인프라 구축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중국 광저우에 2023년 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 생산기지’를 설립한 데 이어, 국내에선 울산에 2028년 양산을 목표로 차세대 연료전지 공장을 착공할 예정입니다.
미국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인근에는 대형 상용차 전용 시설 ‘HTWO(에이치투) 에너지 서배너’를 조성하는데, 이 시설 가동으로 북미시장에서 전개 중인 청정 물류 운송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승용차 부문에서도 현대차는 최근 7년 만에 상품성을 개선한 신형 ‘넥쏘’를 공개했습니다. 올 상반기 국내를 시작으로 글로벌 수소차 시장 재공략에 나선다는 전략.
현대차는 수소의 생산부터 충전 인프라, 승용차와 상용차까지 전 밸류체인에 걸쳐 투자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단기적인 수익을 쫓기보단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에 무게를 두고 있는 만큼, 향후 수소 산업이 본궤도에 오를 시기를 대비한 선제적 포석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지마켓, ‘셀러·고객·AI’ 7000억 투자…재도약 드라이브
- 삼성, 中企·지역과 함께 성장해 온 스마트공장 10주년 맞아
- LG엔솔·스텔란티스 加 합작공장, ‘안전 위반’ 논란
- 앱클론, CAR-T 치료제 ‘네스페셀’ 호주 특허 등록…글로벌 7개국 지적재산권 확보
- ‘SM 주가조작’ 김범수 무죄…카카오, AI·신사업 속도
- KT 김영섭 “사태 수습 후 책임”…위약금 면제 ‘불투명’
- 갤럭시S26, 삼성 ‘엑시노스2600’ 탑재 확정
- 원텍, 자사주 신탁 계약 체결…"책임 경영 실천"
- 삼성바이오에피스, 중국 기업과 ADC 신약 개발 파트너십 체결
- KAI-국립창원대, K-방산 정비·운용 인재 교육 플랫폼 개발한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지마켓, ‘셀러·고객·AI’ 7000억 투자…재도약 드라이브
- 2'주담대 승부수' 토스뱅크…정부 규제가 최대 변수
- 3삼성, 中企·지역과 함께 성장해 온 스마트공장 10주년 맞아
- 4LG엔솔·스텔란티스 加 합작공장, ‘안전 위반’ 논란
- 5천정부지 코스피에…증권사, 실적·주가 '양날개'
- 6“고파이 해결하라”…국감 도마 오른 바이낸스
- 7앱클론, CAR-T 치료제 ‘네스페셀’ 호주 특허 등록…글로벌 7개국 지적재산권 확보
- 8‘SM 주가조작’ 김범수 무죄…카카오, AI·신사업 속도
- 9KT 김영섭 “사태 수습 후 책임”…위약금 면제 ‘불투명’
- 10갤럭시S26, 삼성 ‘엑시노스2600’ 탑재 확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