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車관세 인하 위해 對美투자 검토…美, 548조원 제안”
경제·산업
입력 2025-07-24 10:57:17
수정 2025-07-24 10:57:17
이채우 기자
0개

이는 일본이 미국과 전날 무역 합의를 체결한 방식과 유사한 것이다. 지금까지 공개된 미·일 무역 합의를 보면 일본은 애초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25%의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조건으로 5500억 달러(약 759조원)의 대미(對美) 투자를 약속했다.
일본산 제품의 미국 수출 관세율 15%는 자동차에도 적용된다. 규모는 명확하지 않지만, 미국은 한국에 수백억 달러 규모의 투자 약속을 요구했다고 한다. 다만, 소식통들은 협상은 아직 유동적이라고 전했다.
특히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한국과의 협의 과정에 대미 투자액으로 4000억 달러(약 548조원)를 제안했다고 한 소식통은 밝혔다. 이는 애초 미국이 일본에 제시한 것과 같은 금액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대표단과의 막판 협상에서 이를 5500억 달러로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과의 협상은 자동차를 포함해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며, 일본이 보잉 항공기와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구매한 것처럼 한국도 핵심 분야에서의 추가 구매 약속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블룸버그는 이와 관련해 백악관과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논평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아울러 일본이 미국과 자동차를 포함한 관세율을 15%로 인하한 무역 합의를 이룬 것이 한국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이 일본과 유사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글로벌 자동차 판매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윌리엄 추 미국 싱크탱크 허드슨 연구소의 연구원은 블룸버그에 "이(미일 합의)는 한국에 큰 압박을 가하고 있다"며, "만약 15%로 관세율을 인하할 수 있다면 기쁠 것이지만, 일본과는 다른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 역시 이날 블룸버그TV에 출연해 "독일에 25%의 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현재 독일 자동차는 일본 자동차에 비해 불리해졌다"며 "한국의 현대차도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dlcodn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약바이오협회, 생성형 AI 접목 ‘ETC 마케팅 심화과정’ 개설
- 동국제약, 숙취해소제 ‘이지스마트 구미츄’ GS25·CU 입점
- 고려아연, 10년간 1745명 노원구 청소년에 장학금 지원
- 솔리드스톤, 프리미엄 VIP 멤버십 서비스 공식 출시
- 대웅제약 나보타, 쿠웨이트 수출 계약 체결…“중동 대표 톡신 거듭”
- 풀무원, ‘바릴라 파스타 챔피언십 APAC’ 한국 본선 성료
- KT, 통화매니저 민원 응대 보호 기능 확대
- KGM, 2분기 영업익 179억원…전년比 70.5%↑
-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영업익 4922억원…전년 대비 152%↑
- “지방도 국평 분양가 평균 6억”…‘힐스테이트 환호공원’ 선점 경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