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제재에 K-조선 '반사이익'…수주 점유율 20%대 회복
경제·산업
입력 2025-07-29 08:51:55
수정 2025-07-29 08:51:55
이채우 기자
0개
"중국과의 품질 격차 벌리는 노력 필요"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6월 한국의 수주점유율은 표준선 환산톤수 기준으로 25.1%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포인트가량 상승한 것으로, 점유율 1위 중국과의 격차는 51.0%포인트에서 26.7%포인트로 좁혀졌다. 지난해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연간 기준 15.0%로 8년 만에 10%대를 기록했었는데 올해 반등의 모멘텀을 찾은 것이다.
이러한 점유율 반등은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컨테이너선 건조 수요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무역대표부가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이 반사이익을 누렸다는 것이다.
실제로 상반기 국내 수주량(487만CGT)의 53.3%가 컨테이너선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난해 상반기 수주한 중대형 컨테이너선은 2척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미국 무역대표부의 대중국 해사산업 제재로 일부 대형 컨테이너선 등이 발주처를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환하며 한국의 점유율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글로벌 불확실성 여파로 업황이 부진한 만큼 현 상황에 안주해선 안 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실제로 1∼6월 글로벌 발주량은 1939만CGT로 작년보다 54.5% 감소했다. 특히 국내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선 발주량은 82.9% 감소한 105만CGT에 그쳤다.
점유율이 상승한 한국도 수주량 자체는 487만CGT로 작년 대비 3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액은 31.8% 감소한 161억4000만달러다.
보고서는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상반기 발주량이 건조량에 미치지 못했다"면서 "미국 관세 문제 등의 통상 마찰이 세계 경제와 교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신조선 발주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했다. 이어 "하반기에도 선주들이 적극 투자보다는 관망하는 경향이 더 강할 것"이라며 "올해 총 세계 발주량은 전년 대비 약 46% 감소한 4000만CGT 내외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국내 조선업계가 대중 제재 반사이익을 토대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보고서는 "점유율 회복은 미중간 대립 구도에서 얻은 어부지리에 불과하다"면서 "약간의 시간을 번 정도의 기회로 여기고 중국과의 품질 격차를 벌리는 노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사들의 재무적 여력이 아직 크지 않고 조선산업의 국가 안보 차원 가치가 부각되는 점 등을 고려하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dlcodn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현장 사고 사과…"전 현장 안전 점검 착수"
- 낙동강 중금속 오염·석포제련소 오염 논란에...여당 대표경선 후보 문제 해결 공언
- 분자X대물섬, 프라이빗 디너 행사 성료…"미식·전통주 페어링"
- KAI, 2분기 영업익 852억…전년比 14.7%↑
- 빌리엔젤, '떠먹케' 시리즈 확대 출시…"디저트 시장 공략"
- KT,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2.0 출시
- 공영홈쇼핑, 수해 피해 지역 지원 나서
- 한성숙 중기부 장관 "중소기업 질주하는 고속도로 만들 것"
- 한화오션, 2분기 영업이익 3717억…흑자전환
- 동국제강그룹, 혹서기 근로자 대상 아이스데이 진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27회 기장갯마을축제’ 7월 31일~8월 3일 개최
- 2정남진 장흥 물축제, 글로벌 화합의 장으로 거듭나다
- 3인천 옹진군, 복지시설 급식지원 체계 강화
- 4김찬진 인천 동구청장, 취약계층 청소 봉사 나서
- 5유정복 인천시장, 도시개발·문화현장 점검
- 6지방소멸 대응 민관기구 발족 "지역 맞춤형 균형발전 모델 제시할 것"
- 7해남군, 2027년까지 '생활인구 600만 명 시대' 연다
- 8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현장 사고 사과…"전 현장 안전 점검 착수"
- 9김철우 보성군수, 332억 원 투입 '사람이 돌아오는 보성' 실현 박차
- 10남원시, 전국 최초 '스마트경로당'…비대면진료 서비스 본격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