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폐경 후 여성도 주의하세요

건강·생활 입력 2025-08-18 17:42:45 수정 2025-08-18 17:42:45 이금숙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스치는 바람에도 아픈 통풍(痛風)은 흔히 ‘고기와 술을 많이 먹는 중년 남성의 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폐경 후 여성에서도 증가해 남녀 모두가 경계할 질환이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의 농도가 높아서 과도하게 축적된 요산이 결정화되어 관절과 관절주변 조직에 침착,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극심한 관절 통증과 염증이 갑자기 찾아오는 ‘발작’이 특징적인 증상으로 나타난다. 발작 시간을 잘 견뎌내고 아픔이 사라져도 만성 신장병이나 심혈관질환 같은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통풍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한다. 

이대목동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지수 교수는 “여성의 통풍 유병률은 남성보다 2~3배 낮지만, 폐경 이후에는 유병률이 점차 증가해 70세 이상에서는 남성과 비슷한 수준에 이른다”라며 “이는 여성호르몬이 요산의 배설을 촉진해 가임기 여성에서 통풍 발생을 억제하다가, 폐경 후 호르몬 감소로 발병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통풍이 여성에서 남성보다 더 적게 발생하는 것은 남성호르몬이 요산의 생성을 늘리고 배설을 줄이는 반면, 여성호르몬은 콩팥에서 요산배설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폐경 후에는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어 이 효과가 사라지면서 여성 환자가 급격하게 늘어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통계에 따르면 2024년도 여성 통풍환자는 ▲10대 337명 ▲20대 1800명 ▲30대 3001명 ▲40대 4870명에 불과했지만, 폐경기인 50대부터는 ▲50대 7536명 ▲60대 8629명 ▲70대 6760명 ▲70대 6733명으로 환자 수가 증가했다.

여성 통풍은 남성과 다른 임상적 특징을 보이는데, 여성 환자 중 고혈압, 당뇨, 비만, 만성콩팥병, 이뇨제 사용 등으로 통풍에 걸리는 비율이 남성보다 2~3배 높다. 반면, 남성 환자는 술·고기 등 식습관과 유전적 영향에 더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여성은 술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작 부위에도 차이가 있다. 남성은 주로 엄지발가락 관절에서 급성 발작이 나타나지만 여성은 발목이나 무릎 등 비전형적인 부위가 침범되는 경우가 많아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기도 한다.  

이 교수는 “여성 통풍의 진단과 치료를 개선하려면, 통풍이 여성에게도, 특히 고령층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라는 점에 대해 환자, 의료진,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 전략도 필요하다. 고혈압, 당뇨, 만성콩팥병 등 동반질환을 철저히 관리하고, 생활습관 교육을 할 때 술이나 고기 섭취의 제한보다 액상과당이 함유된 음료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요산저하제 사용 시 효과와 부작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이금숙 기자

ks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