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고령사회연구원, '초고령사회와 디지털 전환' 국제심포지엄 성료

건강·생활 입력 2025-08-25 16:47:15 수정 2025-08-25 16:47:15 이금숙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고려대 고령사회연구원 개교 12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단체사진. [사진=고대의대]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고려대 고령사회연구원이 지난 21~22일 양일간 고려대 김양현홀과 SK미래관에서 개교 120주년 국제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초고령사회와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국내외 고령사회 및 디지털 전환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활발한 학술 교류를 이어갔다.

첫째 날은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해외 석학들의 기조발표가 진행됐다. 중국인민대학교 정공성 교수, 푸단대학교 리창 교수, 싱가포르 남양공과대학 텡인링 교수, 일본 도쿄외국어대 사와다 유카리 교수, 와세다대학교 이와사키 나오코 교수가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각국의 현실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 개혁, 디지털 전환과 고령층 삶의 질 향상 전략 등을 다뤘다.

특히 중국의 초고령사회 개혁 방향과 스마트 돌봄, 일본의 디지털 격차 문제와 고령층 삶의 실제, 싱가포르의 고령친화 기술 적용 사례, 동아시아의 디지털 혁신과 웰에이징 전략 등이 논의되며 국제적 관점에서 고령사회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이후 종합토론에서는 고려대 박건우, 이상수 교수, 중국 서남교통대 Yi-Fan Yang 교수, 국립재활원 송원경 과장, 50+ Korean(NPO) 한주형 박사가 한국·중국·일본의 사례와 정책, 그리고 NPO의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초고령사회에서 디지털 전환이 고령자의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둘째 날에는 세션별 주제강의가 펼쳐졌다. 고령자 건강과 디지털 전환, 디지털 격차 및 AI, 고령자의 일상생활 및 사회복지 현장과 디지털 기술, 청년시선에서 본 동아시아의 고령사회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각 세션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더불어 디지털 기술의 접목 가능성을 검토했으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및 APEC 국가들이 직면한 고령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학문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윤석준 고령사회연구원장(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은 “이번 심포지엄은 초고령사회에서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미래 방안을 모색하는 장으로, 전세계 전문가들과 다양한 시각을 공유하고, 학문적 교류를 이어간 뜻깊은 자리였다”며 “초고령사회가 직면한 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제도적 방향성을 찾아나가겠다”고 말했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이금숙 기자

ks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