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브루나이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교량인 템부롱대교 공사현장을 방문했다.
11일 대림산업은 문 대통령이 템부롱대교 현장을 방문해 현지 직원들을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브루나이 다토 수하이미 개발부장관과 국토교통부 김현미장관, 대림산업 윤태섭 토목사업본부장 외 템부롱대교 프로젝트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대림산업은 지난 2015년 브루나이 템부롱대교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 프로젝트는 브루나이 역사상 가장 큰 교량사업으로 총 사업비가 2조원에 달한다. 템부롱대교는 브루나이만을 사이에 두고 있는 무아라 지역과 템부롱 지역을 연결하게 된다.
총 길이는 30km에 이르며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발주됐다. 대림산업이 템부롱대교의 핵심인 해상교량과 사장교 구간을 수주해 공사를 진행 중이다. 총 수주금액은 약 7,500억원으로 올 하반기 준공 예정이다.
현재 세계 특수교량시장은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과거 유럽과 일본이 주도하던 시장에 기술 자립화와 특수공법으로 무장한 우리나라와 저렴한 공사비를 앞세운 중국이 세계의 바다를 놓고 경쟁하는 형국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가격보다는 기술력 그리고 대한민국 건설회사에 대한 브루나이의 신뢰를 바탕으로 중국업체와의 경쟁 끝에 수주를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입찰 당시 중국업체가 1~3위를 차지했고, 가장 높은 공사비를 써낸 대림산업은 4위였다. 하지만 대림산업은 발주처가 강조한 공기단축에 대해서 특수공법과 차별화된 설계라는 대안을 제시하며 최종 수주에 성공했다.
템부롱대교 건설에 적용된 가장 특징적인 기술은 특수기중기를 사용하는 론칭 갠트리(launching gantry)공법이다.
이 장비는 교각 위에 상판을 들어 올리는 것으로 대림의 장비는 규모부터 다르다. 기존 장비가 800t짜리 상판을 하나씩 올리는 수준이었다면 대림의 장비는 최대 1,700t까지 한꺼번에 2개씩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판 2개를 한 번에 들어서 교각 위에 올리는 방식은 처음으로 시도하는 공법으로 발주처가 요구한 공사기한을 맞추기 위해 만든 새로운 공법이다.
새로운 장비는 대림산업이 아이디어를 내고 직접 설계해서 유럽 건설기계 제작사에 의뢰해 탄생했다. 기존 장비보다 4배 이상 능률이 높아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했다.
이로써 공사금액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고 대림산업은 설명했다.
윤태섭 대림산업 토목사업본부장은 “중국과 일본 등 해외 업체와의 경쟁이 치열하지만 해상특수교량 분야에서는 대한민국 건설사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