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 3D프린팅 의료기기 3종 필리핀 허가 완료…동남아시장 확대 탄력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이 3D 프린팅 의료기기 제품 3종에 대해 필리핀 품목 허가를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이번 필리핀 품목 허가는 올해 1월 베트남 허가 및 4월 태국 허가에 연이은 성과로 동남아시아 시장 확대 전략에 탄력을 받게 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품목 허가를 받은 의료기기는 3D 프린팅 생분해성 인공지지체 제품 3종으로 △티앤알메쉬(TnR Mesh) △티앤알메쉬플러스(TnR Mesh Plus) △티앤알덴탈메쉬플러스(TnR Dental Mesh Plus) 등이다. ‘티앤알메쉬’와 ‘티앤알메쉬플러스’는 안와골절, 골분절 등 두개악안면의 외상 또는 수술로 인한 결손 부위를 재생 및 재건하는 인공지지체 제품이다.
티앤알메쉬는 PCL(Polycaprolactone, 폴리카프로락톤)이, 티앤알메쉬플러스는 PCL과 TCP(Tricalcium Phosphate, 삼인산칼슘)의 복합 소재가 주재료로 쓰이며, 두 재료 모두 체내에 흡수되는 생분해성 물질이다. 수술 중 성형이 쉽고 환자의 부작용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티앤알덴탈메쉬플러스’는 체내 흡수성 치주 조직 재생 유도재로, 염증이나 외상, 임플란트 시술 후 치주조직이 재생돼야 할 부위로 잇몸이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차단막(차폐막) 기능의 치과용 멤브레인 제품이다. 마찬가지로 PCL과 TCP 복합 소재로 제작됐다. 비흡수성 제품과 달리 시술 후 2차 제거수술이 필요 없으며, 내구성, 공간 유지력 등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윤원수 티앤알바이오팹 대표이사는 “이번 필리핀 품목 허가를 획득한 제품을 통한 성공적인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 다각적인 전략을 검토하겠다”면서 “또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각국 인허가를 확대해 진출 시장을 더욱 넓혀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총 인구 1억 명 이상의 필리핀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약 4억 8,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연평균 9.3% 이상의 고성장으로 2021년까지 약 7억 4천만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호실적 행진에도 킥스 ‘발목’…보험사 자본확충 부담↑
-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엔터·화장품·여행株 다 올랐다
- 교보증권, ‘2025 연간전망’ 유튜브 공개…"MZ세대 겨냥 콘텐츠 제공"
- 기업銀 7억 호주달러 캥거루채권 발행…역대 최고 흥행 기록
- 최상목 권한대행 "올해 가계부채 관리 방안 이달 중 발표"
- 광주은행, 자치구에 3억5000만원 특별출연…소상공인 지원 나선다
- 김소영 부위원장 "밸류업 정책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
- BC카드, 고객패널 20기 발대식…"고객 관점 금융서비스 발굴"
- 애큐온, 지역아동센터에 친환경 교육 물품 300세트 전달
- 하나은행, 라온시큐어와 '광운대 디지털 아이디 구축' MOU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정선 교육감 동창 감사관 채용비리 인사팀장 구속…검찰칼끝 어디까지?
- 2"개팔자가 상팔자"...댕댕이 전용 프리미엄 소파 나왔다
- 3호실적 행진에도 킥스 ‘발목’…보험사 자본확충 부담↑
- 4“K-주택 해외로”…현대건설, 해외시장 공략 잰걸음
- 5‘AI·보안’ 앞세운 삼성·LG…中 추격 따돌린다
- 6中 후판에 38% 반덤핑 관세…철강업계 ‘숨통’
- 7'하이퍼클로바X' 신모델 공개에도...“네이버 AI 1년 뒤처져”
- 8한한령 해제 기대감에...엔터·화장품·여행株 다 올랐다
- 9현대차 무뇨스 사장 “품질·안전에 양보·타협 없어”
- 10광명시, 시민과 함께하는 시정…18개 동 방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