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 3D프린팅 의료기기 3종 필리핀 허가 완료…동남아시장 확대 탄력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이 3D 프린팅 의료기기 제품 3종에 대해 필리핀 품목 허가를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이번 필리핀 품목 허가는 올해 1월 베트남 허가 및 4월 태국 허가에 연이은 성과로 동남아시아 시장 확대 전략에 탄력을 받게 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품목 허가를 받은 의료기기는 3D 프린팅 생분해성 인공지지체 제품 3종으로 △티앤알메쉬(TnR Mesh) △티앤알메쉬플러스(TnR Mesh Plus) △티앤알덴탈메쉬플러스(TnR Dental Mesh Plus) 등이다. ‘티앤알메쉬’와 ‘티앤알메쉬플러스’는 안와골절, 골분절 등 두개악안면의 외상 또는 수술로 인한 결손 부위를 재생 및 재건하는 인공지지체 제품이다.
티앤알메쉬는 PCL(Polycaprolactone, 폴리카프로락톤)이, 티앤알메쉬플러스는 PCL과 TCP(Tricalcium Phosphate, 삼인산칼슘)의 복합 소재가 주재료로 쓰이며, 두 재료 모두 체내에 흡수되는 생분해성 물질이다. 수술 중 성형이 쉽고 환자의 부작용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티앤알덴탈메쉬플러스’는 체내 흡수성 치주 조직 재생 유도재로, 염증이나 외상, 임플란트 시술 후 치주조직이 재생돼야 할 부위로 잇몸이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차단막(차폐막) 기능의 치과용 멤브레인 제품이다. 마찬가지로 PCL과 TCP 복합 소재로 제작됐다. 비흡수성 제품과 달리 시술 후 2차 제거수술이 필요 없으며, 내구성, 공간 유지력 등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윤원수 티앤알바이오팹 대표이사는 “이번 필리핀 품목 허가를 획득한 제품을 통한 성공적인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 다각적인 전략을 검토하겠다”면서 “또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각국 인허가를 확대해 진출 시장을 더욱 넓혀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총 인구 1억 명 이상의 필리핀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약 4억 8,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연평균 9.3% 이상의 고성장으로 2021년까지 약 7억 4천만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엠젠솔루션 "이종 반월상연골 이식재 전임상 추진"
- 씨피시스템, 애플 파트너 폭스콘향 '초저분진 케이블체인' 공급 확대
- 영우디에스피, 179억 규모 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계약
- 앱코, 케데헌 열풍에 국립중앙박물관 ‘단청 키보드’ 품절
- 오하임앤컴퍼니 "이주영 본부장 영입…가구 사업 본부 신설"
- "2차 상법개정안 국회 통과…저평가주 수혜 기대"
- '생산적 금융' 압박에…은행권, 기업금융 어쩌나
- 보험업계, 상생기금 300억 조성…무상보험 지원
- 첫돌 만에 급성장 우리투자證…IPO·위탁매매도 시동
- 보험사 건전성 '경고등'…홈플 여파로 메리츠 직격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경찰서, 제4차 청소년선도심사위원회 개최
- 2신창재 교보생명 의장, 유소년 체육 후원 공로로 대한체육회 감사패
- 3충장공 청계 양대박 의병장 영정, 남원 저존재에 봉안
- 4권덕철 전 장관, 고향 남원에 기부금 100만 원 전달
- 5배민, 한국외식업중앙회와 상생 맞손
- 6순창군, '제64회 통계연보' 발간…군정 현황 한눈에
- 7순창군청 소프트테니스팀, 제61회 국무총리기 전국대회 석권
- 8장수군·전북개발공사, 노하지구 도시개발사업 협약 체결
- 9임실군, '저지종 공란우 채란' 본격화…프리미엄 유제품 생산 시동
- 10영덕군, 한국형 청소차 신규 도입. . .안전성·효율성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