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학 아동 6만명, 상장기업 주식 보유
미성년자 보유주식, 평가총액 1조7305억…작년 배당금 153억6000만원
유의동, "증여·상속수단 사례 적지 않아 면밀한 추적 필요"

상장기업의 주식을 보유한 미성년자 주주가 작년 한해 4만7000명 증가한 약 26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미취학 아동이 약 6만명에 달한다. 미성년자가 보유한 상장기업 주식의 평가 총액은 1조7305억원에 달했다.
28일 유의동 바른미래당 의원(국회 정무위)이 한국예탁결제원,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미성년자 보유 상장사 주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작년 말 기준 미성년자 주주는 26만62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성년자 주주는 2013년 16만9211명에서 2014년 16만5028명으로 줄었다가, 2015년 18만4000명, 2016년 19만88명, 2017년 21만2570명, 2018년 26만62명으로 늘어났다.
미성년자 주주 가운데 0~6세 미취학 아동도 5만9777명에 달했다. 만 7~12세는 8만9492명, 만 13~18세는 11만793명이었다.
기업별로 살펴보면 미성년자 주주가 가장 많은 곳은 삼성전자(1만5017명)였고, SK하이닉스(6286명), 셀트리온(5034명), 현대차(4538명), 기아차(3534명), 카카오(3515명), 한국전력공사(3250명), LG전자(2459명), 삼성바이오로직스(2095명), 삼성물산(1983명) 순이었다.
작년 말 기준으로 미성년자 보유 주식 평가 총액은 1조7305억원으로, 1인당 평균 665만4000원에 달했다. 미성년 주주들이 지난해 수령한 배당금은 153억6000만원이다.
유의동 의원은 "지난해 미성년자의 주식 보유 붐이 일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부유층이 증여와 상속 수단으로 주식을 활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은 만큼 미성년자의 주식 보유와 거래가 합법적으로 이뤄지는지 면밀한 추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혁수 기자 wjsgurt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경산교육지원청 Wee센터, 하반기 ‘학업중단예방 및 마음건강 특별살핌의 달’ 실시
- 대구교통공사, ‘재해경감 우수기업 경진대회’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
- 수성구, ‘모두의 뚜비’ 공모전 시상식 개최...창의와 상상력으로 완성된 하루
- 수성구, 미군부대 캠프워커에서 ‘헬로 수성Day’ 개최
- 수성구, 무학산 등산로에 태양광 LED 국가지점번호판 설치
- 수성구 고산3동, ‘2025 제7회 고인돌 문화축제’ 개최
- 수성아트피아 “‘우리가 지키는 세계’ 어린이 연극 보러 오세요”
- 인천시, 오존주의보 감소 원인 ‘강수량 증가·기온 하락’
- 박상현 의원, “연구자 정치 참여로 AI 의료법 제정 앞당겨야”
- 경기도, 말라리아 환자 22%↓·매개모기 56%↓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산교육지원청 Wee센터, 하반기 ‘학업중단예방 및 마음건강 특별살핌의 달’ 실시
- 2대구교통공사, ‘재해경감 우수기업 경진대회’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
- 3수성구, ‘모두의 뚜비’ 공모전 시상식 개최...창의와 상상력으로 완성된 하루
- 4수성구, 미군부대 캠프워커에서 ‘헬로 수성Day’ 개최
- 5수성구, 무학산 등산로에 태양광 LED 국가지점번호판 설치
- 6수성구 고산3동, ‘2025 제7회 고인돌 문화축제’ 개최
- 7수성아트피아 “‘우리가 지키는 세계’ 어린이 연극 보러 오세요”
- 8중증 천식에 생물학적제제, 효과 좋지만…"연 800만 원 약제비 부담"
- 9인천시, 오존주의보 감소 원인 ‘강수량 증가·기온 하락’
- 10박상현 의원, “연구자 정치 참여로 AI 의료법 제정 앞당겨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