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1.25%로 또 인하…2년만 역대 최저

[앵커]
오늘 한국은행이 또 기준금리를 내렸습니다. 지난 7월 1.50%로 인하된 뒤, 3개월여만에 연이어 내리면서 2년만에 사상 최저치인 1.25%가 됐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경제 상황에 더해 최근 마이너스 행보를 보이고 있는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주된 인하 배경으로 꼽힙니다. 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25%로, 0.25%p 더 낮췄습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16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올해 들어 두 번째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결과, 현재 금리는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한국은행은 2016년 6월부터 1년 5개월여간 기준금리를 1.25%로 운용해오다가 2017년과 작년 11월에 0.25%p씩 올린 뒤, 올해 7월과 이날 다시 0.25%p씩 내렸습니다.
인하 배경으로는 글로벌 경기 부진 심화와 반도체 수출 부진 등 안팎으로 좋지 않은 경제 여건이 꼽힙니다.
유로지역과 중국 등에서 수출 부진이 계속되고 있고, 미중무역분쟁 역시 ‘미니딜’ 수준에 그치며 우리나라의 대외 거래 여건이 나아지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싱크] 이주열 / 한국은행 총재
“앞으로 국내 경제의 성장 흐름은 글로벌 무역분쟁 지속과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의 영향으로 지난 7월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은은 당초 2.7%로 잡았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7월까지 올해에만 세차례에 걸쳐 2.2%까지 계속 낮춰 왔는데, 오는 11월 유력시되고 있는 성장률 추가 하향 조정 가능성에 선제 대응한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결국 지난 8월 금리를 동결하면서 7월 금리 인하 효과를 지켜본 결과, 한차례의 인하로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내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총재는 또 “소비자 물가 상승률도 7월 전망 경로를 하회해 당분간 0% 내외에서 등락할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이 안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 지난 8월과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대내외 경기가 내년에도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기 어렵다는 전망이 커지는 가운데, 내년에 추가 금리인하가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고현정입니다./go8382@sedaily.com
[영상취재 이창훈 /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자원봉사센터, 제5회 남원시자원봉사박람회 개최
- 2'돈키호테' 서울 상륙...GS25 팝업스토어 오픈런
- 3펫보험, 치열해지는 주도권 다툼…1강 구도 흔들리나
- 4나홀로 후진했던 BNK금융…실적 반등 노린다
- 5게임업계, 보안 예산 ‘인색’…“매출 1%도 안 써”
- 6넥센 오너家 세금 없이 570억 확보…상속세 대비 포석?
- 7본업 정상화 시급한데…형지글로벌 ‘코인’ 승부수
- 8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 사업 확대…재도약 기반 마련
- 9“갤럭시 출시·단통법 폐지”…통신사, 점유율 확대 ‘총력’
- 10양산시, '하반기 공공근로·지역공동체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