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제’ 시행 코 앞…中企 노·사 ‘상생’ 논의

[앵커]
내년부터 300인 미만 사업장도 주 52시간 근로제도가 적용됩니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과 인력 부족 등으로 중소기업은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요.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노동계 대표와 만나 ‘상생의 길’을 논의했습니다. 보도에 정새미 기자입니다.
[기자]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노동계와 소통에 나섰습니다.
내년부터 30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되는 주 52시간근로제도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한 겁니다.
오늘(30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 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김기문 중기중앙회장과 김주영 한노총 위원장 등 중소기업과 노동계 대표들이 참석했습니다.
중기중앙회가 발표한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65.8%가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건비 상승’(70.4%)과 ‘인력 부족’(34.4%) 등을 꼽았습니다.
이에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주 52시간 근무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예기간이 필요하다며 노동계의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인터뷰] 김기문 /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현재는 65.8%가 준비가 안 됐는데, 쉽게 따지면 3개 회사가 2개가 준비 안 됐다는 거거든요. 사용자 측에서도 어느 정도 유예기간 필요하다 등 준비가 안 된 게 사실이라는 의견이 많아서 노사가 의견 같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김주영 위원장은 노사 협력의 필요성은 공감했지만 주 52시간 제도는 예정대로 진행해야 한다며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습니다.
[인터뷰] 김주영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파일명 : 한국노총 씽크)
“국회에서 다양한 법들이 논의되고 있지만 노사정이 합의한 내용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정말 어려운 기업들이 있다면 그런 부분들은 노사정이 실태조사를 정확하게 해서 그런 기업에 정부가 어떤 지원을 하고 맞춤처방을 할 것이냐에 대한 별도로 논의가…”
한편, 오늘 간담회를 통해 중기중앙회와 한노총은 근로자들의 건강권 보장과 노사합의를 전제로 다양한 보완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정새미입니다. / jam@sedaily.com
[영상취재 허재호 /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전-중소기업계, 상생협력 실무협의회 개최
- "말 조련사 도전하세요" 제14회 말산업 국가자격시험 서류 접수
- 중기부,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개최 위해 제주도와 맞손
- 베어페인트, 美 소비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페인트 브랜드' 1위
- 마사회, 말산업 신규채용 근로자 인건비 지원
-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이용자 초청 ‘프리뷰 데이’ 개최
- 코웨이, ‘2025 파트너사 세이프티 데이’ 개최
- 마사회 개발 말 DNA검사 시약 해외 수출 쾌거
- S-OIL, 장애인 표준사업장 ‘하트하트 아트앤컬쳐’ 지분 투자
- ‘암말 빅매치’ 제36회 뚝섬배 27일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전-중소기업계, 상생협력 실무협의회 개최
- 2"말 조련사 도전하세요" 제14회 말산업 국가자격시험 서류 접수
- 3중기부,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개최 위해 제주도와 맞손
- 4베어페인트, 美 소비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페인트 브랜드' 1위
- 5마사회, 말산업 신규채용 근로자 인건비 지원
- 6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이용자 초청 ‘프리뷰 데이’ 개최
- 7코웨이, ‘2025 파트너사 세이프티 데이’ 개최
- 8마사회 개발 말 DNA검사 시약 해외 수출 쾌거
- 9경기도의회, 南北관계...경제 전략으로 리셋해야
- 10고양시, 미니태양광 민간보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