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제’ 시행 코 앞…中企 노·사 ‘상생’ 논의

[앵커]
내년부터 300인 미만 사업장도 주 52시간 근로제도가 적용됩니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과 인력 부족 등으로 중소기업은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요.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노동계 대표와 만나 ‘상생의 길’을 논의했습니다. 보도에 정새미 기자입니다.
[기자]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노동계와 소통에 나섰습니다.
내년부터 30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되는 주 52시간근로제도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한 겁니다.
오늘(30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 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김기문 중기중앙회장과 김주영 한노총 위원장 등 중소기업과 노동계 대표들이 참석했습니다.
중기중앙회가 발표한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65.8%가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건비 상승’(70.4%)과 ‘인력 부족’(34.4%) 등을 꼽았습니다.
이에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주 52시간 근무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예기간이 필요하다며 노동계의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인터뷰] 김기문 /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현재는 65.8%가 준비가 안 됐는데, 쉽게 따지면 3개 회사가 2개가 준비 안 됐다는 거거든요. 사용자 측에서도 어느 정도 유예기간 필요하다 등 준비가 안 된 게 사실이라는 의견이 많아서 노사가 의견 같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김주영 위원장은 노사 협력의 필요성은 공감했지만 주 52시간 제도는 예정대로 진행해야 한다며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습니다.
[인터뷰] 김주영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파일명 : 한국노총 씽크)
“국회에서 다양한 법들이 논의되고 있지만 노사정이 합의한 내용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정말 어려운 기업들이 있다면 그런 부분들은 노사정이 실태조사를 정확하게 해서 그런 기업에 정부가 어떤 지원을 하고 맞춤처방을 할 것이냐에 대한 별도로 논의가…”
한편, 오늘 간담회를 통해 중기중앙회와 한노총은 근로자들의 건강권 보장과 노사합의를 전제로 다양한 보완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정새미입니다. / jam@sedaily.com
[영상취재 허재호 /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 “동일토건·대원도 합류”…삼성물산 홈플랫폼 ‘홈닉’, 건설업계 확산
- 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 혼다, '2025 재팬 모빌리티 쇼'서 모빌리티 제품·기술 공개
- CJ프레시웨이, 제4회 ‘자연스럽게 먹자’ 식습관 공모전 성료
- 도플소프트 ‘스마트무브’, 한강버스 실시간 길찾기 등 업데이트
- 삼성SDS, ‘AI 풀스택’ 역량으로 기업 고객 혁신 이끈다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구매 고객 95% "차량 만족해"
- LG전자, 식수 시설·세탁방 설치…나이지리아서 밀착형 사회공헌
- 증선위, SK에코플랜트 회계위반 '중과실' 판단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의회 자치행정위 "지역민 삶에 실질적 도움 되는 정책 필요"
- 2양충모 전 새만금개발청장, 자전적 저서 '남원가는길 양충모' 출간
- 3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 4“동일토건·대원도 합류”…삼성물산 홈플랫폼 ‘홈닉’, 건설업계 확산
- 5대구대, AI·SW 분야 과감한 교육 투자로 미래형 인재 양성 박차
- 6영남대, AI 튜터 도입으로 ‘초개인화 학습 혁신’ 앞당긴다
- 7영남이공대, 2025학년도 ‘지역사회봉사센터 봉사단’ 발대식 개최
- 8대구한의대, 진로개발센터 2025학년도 학과별 현장연계 교육과정 기린도전학기 발대식
- 9차규근 의원, 총수일가 문어발식 보수수령 제한하는 법인세법 발의
- 10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