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실적 발표하면 주가도 ‘호호호’

[앵커]
이번주 우리 시장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가 단행되며 박스권 상단을 높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3분기 기업 실적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호실적 발표한 종목들은 주가도 급등하는 모습. 펜벤다졸 관련주들의 급등 흐름이 이어졌는데
한 주간의 증시 흐름 앵커레포트에서 정리해 드립니다.
[기자]
이번주 코스피는 오랜만에 2100선에 안착하며 마감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코스피 시장은 0.5% 상승하며 2100.2P에 마감했고,
코스닥 시장은 1.5% 상승하며 662.32P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개인과 기관이 1990억, 748억원을 매도했지만 외국인이 326억원을 매수했고, 코스닥은 기관이 708억원을 매도했지만 개인과 외국인이 1023억, 199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미국 FOMC가 0.25% 금리 인하를 결정하며 우리시장 박스권 상단을 높여줬습니다.
이번 FOMC는 금리 인하 여부도 중요했지만,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 시장은 집중했는데,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을 낮게 본 부분과 소비에 대한 긍정적 시각에 대한 발언이 다소 비둘기파적이라 해석되며 향후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전체적으로 3분기 실적이 부진하게 발표되고 있지만, 아모레퍼시픽, 삼성엔지니어링 등 호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의 주가는 큰 폭의 상승이 수반되고 있습니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의 깜짝 실적 발표로 오랫동안 눌려있던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아모레퍼시픽 뿐만 아니라 화장품 관련주들의 전체적인 분위기 반전을 이끌었습니다.
대장주 아모레퍼시픽은 이번 한 주간 상승률이 24%에 달했습니다.
지난 월요일, 폐암 투병 중인 개그맨 김철민씨가 강아지 구충제인 펜벤다졸의 복용 효과를 SNS를 통해 밝히면서 시장의 관심이 모였습니다.
관련주들 역시 상승 흐름 이어가며 한 주를 마감했습니다. 특히나 제일바이오의 주간 상승률은 75%가 넘었습니다.
다만, 식약처와 대한암학회는 펜벤다졸이 치료용으로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습니다.
FOMC가 시장에 긍정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시장이 올라갈만한 재료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제유가가 재고 증가로 하락하고, APEC 정상회담이 취소되며 미·중 정상회담 일정이 불확실해지며 합의에 대한 의구심이 드는 부분 등은 우리 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서정덕입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한銀 상생금융 확대…공공배달앱 가맹 소상공인 200억 금융지원
- '코인 3법' 美하원 통과…국내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탄력받나
- 부실과 부실의 만남…코스닥 깜깜이 주인 변경 '주의'
- 은행권 활발해진 공동대출…하반기 지방銀-인뱅 협업 이어진다
- 우리투자증권, 2분기 '개인형IRP 원리금비보장 수익률' 1위
- "실버세대 잡아라"…4대 금융, '시니어 모시기 전쟁' 본격화
- 기지개 켜는 소비심리…편의점·백화점株 ‘활짝’
- 은행권 '제로 트러스트' 강조…고강도 보안체계 구축
- 기술 이전·관세 유예…몸집 키우는 K-바이오株
- 957만건 위반에 183兆 과태료?…FIU-업비트 정면 충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1인당 최대 40만원'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신청
- 2조주완 LG전자 CEO "작은 관찰이 혁신으로"
- 3삼성물산, 4507억 규모 신정동 재개발 시공사 선정
- 4코트라, 'AI 위원회' 신설…"AI 3대 강국 도약"
- 5김건희 특검, ‘집사 게이트’ 카카오모빌리티 전 CFO 소환 조사
- 6이마트24, 무인 과일냉장고 '핑키오' 편의점 첫 도입
- 7내란특검, 김영호 통일부 장관 조사…계엄 국무회의 확인
- 8노브랜드 버거, 민생회복 위해 가맹점 상생 지원
- 9삼성·LG전자, 수해 피해지역서 특별점검·피해복구 지원
- 10"K굿즈, 난리났다"…역직구 거래액 3배 늘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