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가계부채, GDP 대비 증가속도 세계 최상위권

[서울경제TV=유민호기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오름폭이 전 세계 주요국 중에서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4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한국의 가계부채는 1,790조5,21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4.5% 늘어났다.
BIS 수치는 가계의 빚과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받은 대출이 포함돼 있다. 개인사업자 대출로 빌린 돈도 부동산 구매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요 연구기관은 전체적인 부채 흐름을 평가하거나, 국가 간 비교를 할 때 BIS 조사 결과를 참고한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 폭(4.5%)은 조사 대상인 전 세계 43개국 가운데 25위로, 빚이 급증하는 여타 국가에 비해 작은 편이다.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보면 프랑스의 가계부채가 1년 전보다 6.1% 늘었고 벨기에는 5.5%, 독일은 4.6% 불어났다. 신흥국 중에서는 러시아가 20.8%, 중국이 16.0%, 홍콩이 14.0%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세 자체는 낮은 편이지만, 국내총생산(GDP)을 고려하면 가계부채 부담이 크고 부담이 늘어나는 속도 또한 주요국 가운데 최상위권 수준이다.
지난해 3분기 말 한국의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보다 2.7%포인트 오른 93.9%였다. 서브 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를 겪은 2008년 미국(95.9%)에 준하는 수준이다. 상승 폭 역시 홍콩(7.7%포인트), 중국(3.5%포인트), 노르웨이(2.9%포인트)에 이어 네 번째로 컸다.
이는 우리나라의 명목 성장률이 주요국과 비교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의 명목 GDP는 가계 빚 규모를 소폭 웃도는 1,913조9,6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늘어나는 데 그쳐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아직 다른 나라의 명목 GDP는 집계되지 않았지만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19년 한국의 명목 성장률이 36개 회원국 가운데 34위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상의 "중고거래 이용자 과반, 3년 전보다 '중고제품' 부정적 인식 줄어"
- 2대경경자청, 경산지식산업지구 입주기업 직원들 위한 음악 콘서트 개최
- 3영덕군, 천연 잔디 파크골프장 3곳 일제 개장
- 4영덕군, 대만 수출 배추 농약 안전사용 교육
- 5영덕군, ‘소상공인 출산 장려 지원사업’ 신청 독려
- 6대구광역시, ‘미래 100년 번영’ 위한 지역공약 발표
- 7최무경 전남도의원 "도내 싱크홀, 선제적 대응 필요"
- 8KB금융, ‘KB GOLD&WISE the FIRST 반포’ 개점 1주년
- 9인천 서구 개발 훈풍에…‘왕길역 아테라’ 미래 가치 주목
- 10함평군, 청소년 흡연·음주 예방 교실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