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쇼크’ 산업생산·소비 9년만 최대폭 감소
[앵커]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국내 실물 경제 충격이 지표로 확인됐습니다. 지난달 국내 산업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얼어붙었는데요. 특히 산업생산과 소비는 구제역 파동이 있었던 지난 2011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양한나기자입니다.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2월 전(全) 산업생산은 전달보다 3.5% 감소했습니다. 지난 2011년 2월 이후 9년 만에 최대 감소폭입니다.
특히 광공업생산은 3.8% 감소해 2008년 12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습니다. 자동차 생산이 27.8% 급감한 영향이 컸습니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3.7로, 전월보다 0.1% 감소했습니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6.4%,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4.9%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3.5% 위축돼 2000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 항공여객업, 철도운송, 여행업 등이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영향입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역시 9년 만에 최대 감소폭인 6.0%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백화점, 면세점 판매가 급감한 반면 무점포소매, 대형마트 판매는 늘었습니다.
설비투자는 전달보다 4.8% 줄었습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가 15.4%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현재 경기 진단 역시 크게 나빠졌습니다.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8로 전월보다 0.7포인트 하락하며 11년 1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3으로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이 지표가 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으로 어두워진 전망을 모두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서울경제TV 양한나입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북부 산업단지, ‘빈 땅의 10년’
- 2인천시, 교육청·동구와 손잡고 화도진도서관 새단장
- 3경관조명으로 물든 오산시, 70억 원의 투자
- 4인천시의회 조현영 의원, 제3연륙교 개통...송도 주민 혜택 촉구
- 5기장군, 제19회 기장붕장어축제 열린다
- 6인천시, 갈등조정에서 공론화로… 시민 참여 숙의 행정 본격화
- 7인천시, 수도권 규제완화 논의… 지역 역차별 해법 찾는다
- 8문경복 인천 옹진군수 “정확한 통계...정책의 기초”
- 9유정복 인천시장, ‘시민이 묻고 시장이 답하다’ 현장 소통
- 10인천시의회 이단비 의원, 시민 혜택과 소상공인 보호 동시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