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디딜자리 프로젝트', 경단녀‧시니어 공익활동가 인생2막에 날개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 서울시는 공익활동가로서의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서울시의 ‘시민사회 디딜자리 100 프로젝트’가 경력단절여성, 5060 시니어 등 일자리 취약계층 인생2막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시민사회 디딜자리 100프로젝트’는 공익활동단체 등에서 공익활동가로 일하고 싶은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에게 일 경험을 제공해 향후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서울형 뉴딜일자리 사업이다.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선정한 예비 공익활동가들을 지난 9월부터 장애인, 환경, 여성 등 54개 비영리 시민단체에 파견해 실무경험을 쌓게 하고 전문 강사진의 직무역량 교육도 동시에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디딜자리 100 프로젝트’에 참여해 활동 중인 예비 공익활동가 총 96명 중 경력단절여성(32명), 5060 시니어(28명)는 약 62.5%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시는 임신과 육아 때문에 퇴사해 경력이 단절되거나 코로나 19로 인해 실직한 4050 여성들에게 커리어가 되는 양질의 일자리를 지원,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디딤돌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동구에 사는 김윤자 씨(47)는 13년의 경력단절을 딛고 현재 NPO단체 ‘행복누리 사회적협동조합’에서 활동지원보조원으로 일하고 있다. 과거 무역회사에서 근무했던 김 씨는 임신 후 퇴사해 일자리를 찾지 못하다가 ‘디딜자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케이스다. 김 씨는 “경력 단절된 여성에게도 일자리 경험을 주는 것이 참 고맙다”며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커리어를 쌓게 해주는 의미도 있지만 사회가 내게 베푼 ‘나눔’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한부모 여성 가장인 이연지 씨(46·가명)는 코로나 19로 인해 실직한 후 9개월 만에 취업에 성공했다. 생태 관련 일을 했던 이씨는 자신의 경력을 살린 일자리 매칭을 통해 동종 업체에서 홍보업무를 맡고 있다. 그동안 실직으로 인해 공과금·양육비 등 기본생활비도 충당하기 힘들었던 이씨에게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다시 미래를 꿈꿀 수 있는 희망이 되고 있다. 이씨는 “경력단절여성은 학력과 역량이 있어도 경력을 인정해주는 곳이 없어 단순노무 일자리에 만족해야 하는 상황이 비일비재하다”며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경력이 될 수 있는 일자리를 지원해 주기 때문에 커리어를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덕분에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됐다”고 말했다.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는 5060 시니어들에게도 새로운 일자리를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자신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고 자아실현도 하며 보람과 기쁨을 동시에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32년 간 사기업에서 근무하고 정년퇴직한 김봉일 씨(62)는 신용도 7등급 이하의 저 신용자에게 대출을 지원해주는 공익단체 ‘롤링주빌리’에서 개인채무상담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김 씨는 “지식 경험을 활용할 기회를 줘 자부심을 느끼게 한다”며 “공익활동단체에서 일하다 보니 사회적으로 공헌한다는 긍지를 느낄 수 있어 좋다”고 소감을 전했다. 퇴직 후 사회공헌 활동에 관심이 생겨 지원했다는 김 씨는 “월급으로 금전적 도움도 받을 수 있어 좋다”며 “디딜자리 프로젝트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바도 큰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디딜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광진 50플러스’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모 씨(65)는 비슷한 연령대인 50대 이상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제도적·사회적 기반을 구축하며 큰 보람을 느끼고 있다. 이 씨는 “활동을 통해 공익활동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며 “프로젝트가 끝나도 사회적인 활동을 이어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일자리는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기 위해 중요한 요소”라며 “일을 하니 사회의 일원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자부심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참여자 중 최고령자인 신용한 씨(67)는 “디딜자리 프로젝트는 금전적인 목적도 있지만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 시킨다”며 “대기업·공공기관에서 쌓아온 역량을 사회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자 우수인력을 사회에 환원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시니어를 활용하는 모습을 통해 노인에 대한 사회인식도 바뀔 것 같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수랑 민간보조사업자사업 수행 소셜밸런스 실장은 “서울시가 ‘디딜자리 프로젝트’를 통해 경력단절여성과 시니어들에게 공익활동가의 길을 열어줬다"며 "이분들을 통해 시민사회단체가 더욱 더 따뜻해지고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평택시, 팽성2배수지 9월 본격 가동
- 이재준 수원시장 "을지연습은 실전처럼"
- 오산시, 재난안전사업 본격화,,특교세 10억 확보
- 대형 건설사 사고 잇단 가운데… "GH, 모듈러공법으로 해법 제시"
- 남원시, '전북형 반할주택' 본격 추진…청년·신혼부부 주거 안정 선도 도시로
- 경북대병원·칠곡경북대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4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및 ‘2023년 1차 영상검사 적정성 평가’ 1등급 획득
- 김승수 의원 “장애인 공무원 의무고용 비율 낮은 기관...국방부, 교육부, 해수부 순”
- 김위상 의원 “배달 라이더도 양극화, 非플랫폼이 더 배달하고 더 적게 받는다”
- 수성구, ‘2025 제1회 뚜비 댄스대회’ 개최
- 수성구 범어3동 새마을협의회·부녀회, 삼계탕 나눔 행사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상 종가, 런던 뮤직 페스티벌 'APE 2025' 참가…"유럽 시장 공략"
- 2KT&G, 제조 부문 명장 선발…"기술 리더 중심 경쟁력 강화"
- 3스마일게이트 '스토브',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 부스 운영 성료
- 4빅뱅 지드래곤, 팬투 '8월 아티스트 생일 투표'서 1위 차지
- 5중소기업계, 고용노동부 장관 만나 노조법 개정안 우려 전달
- 6롯데百, 일본 파티시에 ‘고야마 스스무' 팝업행사 진행
- 7온코닉, 中 파트너사에 신약 기술이전료 500만 달러 청구
- 8한국투자증권, 에이피알 기초자산 등 ELW 318종목 신규 상장
- 9경총, '노동조합법 개정 반대' 경제계 결의 대회 개최
- 10평택시, 팽성2배수지 9월 본격 가동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