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준 의원, 한국치의학융합산업연구원 설립 위한 법안 발의
글로벌 치과산업 시장 선점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등 총괄 국가 연구기관 설립 필요

최근 소득증대와 기대수명 연장에 따른 의료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고, 의료 연관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로 인한 구강질환 증가와 치과 치료 수요 급증에 따라 치의학 연구개발 및 치과의료 관련 산업이 미래 신성장동력 분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치과산업 시장 선점을 위한 세계 각국의 치열한 기술개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대비한 치과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치의학 및 치의과학 R&D 투자는 보건의료 전체의 약 2.3%로 399억원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전 세계 치과기기 및 용품 시장은 2016년 약 30조 원 규모에서 연 평균 2조 원씩 성장해 2019년 기준 36조 원에 달하는 수준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치과의료기기 수출액도 2017년 3억 5,578만 달러, 2018년 3억 8322만 달러, 2019년 4억 7305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2020년에는 4억 4,901만 달러로 감소하며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
이에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치의학 및 치기공 산업을 활용한 국가 차원의 경제발전 전략을 마련하고, 치아재생 기술을 비롯한 치의학 원천기술 개발 분야와 산업으로서 무한한 성장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치기공 분야 등을 아우를 수 있는 치의학·치과의료기기산업 융합 중추연구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 미국의 국립악안면연구소(NIDCR) 및 캐나다, 싱가포르, 노르웨이, 독일 등에서 치의학 관련 국가 연구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홍석준 의원이 대표발의 한 법안은 ‘한국치의학융합산업연구원’ 을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설립하도록 하고 있다.
홍석준 의원은 "치의학 원천기술 개발과 치과의료기기 산업 육성은 물론 첨단 치과의료서비스 개발까지 총괄하는 ‘한국치의학융합산업연구원’ 설립을 통해 치의학 및 치과산업에 대한 신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것은 물론,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 및 치의학 의료인프라 강화를 통해 의료 선도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치과의료 관련 산업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입법취지를 밝혔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의성군, 국립칠곡숲체원서 ‘청소년 생태전환 교육’ 참여
- 의성군, 과수거점APC 전국 경영평가 1위 달성
- 안동시, 산불피해 주민 위한 찾아가는 문화공연 성료
- 안동시-안동학가산김치, 53억 원 규모 증축 투자협약 체결
- 안동교육청, 2025 학습코칭단 하반기 역량 강화 전문교육
- 대구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우리 쌀, 발효로 다시 태어나다". . .‘K-Rice 발효과정’ 수강생 모집
-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2025년 을지연습 실제훈련 참관 및 주민대피 동참
-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 이동노동자 쉼터 현장 방문
- 대구시의회,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사태. . .대구시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 촉구
- 경북도, 미국 관세발(發). . .‘경북 자동차부품산업 위기’ 도약의 기회로 승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백화점, 예술·문화 공간으로 변신…‘더현대 아트 스테이지’ 진행
- 2현대홈쇼핑, 리빙 브랜드 ‘알레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 3대보건설, '운정중앙역 하우스디' 준공
- 4BNK부산銀, 총 1조원 규모 지역·해양기업 금융 지원 나선다
- 5최태원 SK 회장 “AI를 가지고 놀며 혁신해야 성공할 수 있어”
- 6의성군, 국립칠곡숲체원서 ‘청소년 생태전환 교육’ 참여
- 7한국필립모리스, 신제품 ‘센티아 클래식 다크 그린’ 출시
- 8의성군, 과수거점APC 전국 경영평가 1위 달성
- 9안동시, 산불피해 주민 위한 찾아가는 문화공연 성료
- 10안동시-안동학가산김치, 53억 원 규모 증축 투자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