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석유비축기지 준공···전국 9개 비축기지 구축
비축기지 건설 계획 41년 만에 마무리

[울산=김서영기자] 울산에 석유비축기지가 생겼다. 이로써 정부가 1980년부터 추진해온 석유비축기지 건설 계획이 41년 만에 마무리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는 19일 오전 석유공사 울산지사에서 ‘울산 석유비축기지 준공식’을 개최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이번 울산 비축기지(1,030만 배럴) 준공으로 전국 9개 비축기지(울산·거제·여수·서산·구리·평택·용인·동해·곡성)에 총 1억4,600만 배럴 규모의 석유를 저장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정부 비축유는 총 9,700만 배럴 규모다. 국제에너지기구(IEA) 기준으로 외부에서 석유를 도입하지 않아도 106일가량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민간 보유량 1억 배럴까지 합산하면 국내 사용일수는 200일 정도가 된다.
정부는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파동 이후 1980년부터 석유비축계획에 따라 석유비축사업을 추진해왔다. 2016년에는 울산 비축기지 지하공동 건설 작업에 착수했다.
이날 준공식 행사에는 박기영 산업부 제2차관과 이채익 의원(울산 납구갑), 권명호 의원(울산 동구), 울산시 조원경 경제부시장, 김동섭 석유공사 사장, 비축건설 관련 기업 임직원이 참석했다.
비축기지 건설에 기여한 손준택 석유공사 차장 등 총 8명은 산업부 장관 및 석유공사 사장 표창을 수상했다. 시공업체인 SK 에코플랜트, 설계·감리업체인 삼안과 벽산 엔지니어링, 터널굴착공사·기계설비공사 협력업체인 동아지질과 유벡은 감사패를 전달받았다.
박기영 차관은 “3년 만에 국제유가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에너지 수급이 불안정한 시기에 에너지자원을 직접 비축할 수 있는 석유저장시설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최근 요소수 등 원자재에 대한 수급 불안정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주요 원자재의 공급망을 면밀히 분석하고, 비축품목 확대, 수입국 다변화 지원 등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seo0kk@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전북선관위 “4월 4일부터 후보자 이름 담긴 현수막 금지”
- 이원택 의원 “산불 진화 헬기, 고장·부실통계에 무기력…제도·예산 전면 개선 필요”
- LX공간정보연구원, 어린이와 함께 소나무 식재…“녹색 미래 함께 심어요”
- 전북자치도교육청, ‘원어민 화상영어 토킹 클래스’ 22일 시작
- 완주군, 청년·신혼부부·다자녀가구 전세이자 최대 100만 원 지원
- 무주군, 가축분뇨 퇴비 부숙도 검사 연중 무료 실시
- 진안군·전북연구원 정책간담회 개최…6개 주요 현안 논의
- “벚꽃 구경 놓쳤다면”…진안군, 마이산·데미샘 다음 주 만개
- 전주시, 탄소소재 테스트베드 본격 가동…“탄소 산업 최적지 도약”
- 전북도, 美 바이오시장 본격 진출…보스턴에 협력거점 구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공 던지고 100만원”…한화이글스, 시구 등 알바 모집
- 2김병주 MBK 회장 ‘찔끔’ 사재출연 논란…정치권 “3兆 내야”
- 3“이번이 마지막”…삼성전자, AP자립화 ‘특명’
- 4美 거점 없는 넥센타이어…‘트럼프 관세에 반덤핑’ 우려
- 5“상반기 1兆 약속하더니”…중기부, 벤처펀드 ‘하세월’
- 6자본확충 속도 높이는 우리금융…보험사 인수 마지막 관문 집중
- 7대만 찾은 최태원…SK, ‘엔비디아·TSMC’ 삼각동맹
- 8'관세전쟁' 격화에 하루만에 약세장 전환
- 9취임 100일 맞이한 카드사 CEO…지각변동 '분주'
- 10전북선관위 “4월 4일부터 후보자 이름 담긴 현수막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