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45만가구 ‘적자’… 소득 90% 이상 빚 상환에 써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국내 전체 가구 가운데 345만가구(17.2%)는 적자상태라는 조사가 나왔다. 이들 가구는 소득의 90% 수준을 빚 갚는데 쓰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은 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방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가계금융복지 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자료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2052만 가구의 17.2%는 적자가구에 해당한다. 이들 적자 가구는 평균 소득이 4,600만원, 평균 필수 소비지출은 2,400만원, 이자외 비소비지출은 9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대출금과 이자를 갚는데 쓰는 비용은 4,500만원으로 이는 소득의 98%에 달한다.
가계 재무상태 중에서 유동성 위험을 파악하는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적자가구가 1.6배, 흑자가구가 0.7배로 나타났다. 가계 채무이행 부담을 보여주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적자가구는 1.4배. 흑자가구는 0.1배로 조사됐다.
또 지난해 3월 기준으로 고(高) 소득대비대출비율(LTI) 가구는 84만가구로 집계됐다. 고LTI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4억원으로 평균 금융부채 가구 대비 4배가량 높다. 이들 가구의 소득은 4,900만원으로 금유부채 가구 평균 소득(7,000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고LTI 가구에서 적자가구는 52만가구나 됐다. 이들 적자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3억7,000만원으로 흑자가구(4억6,000만원)보다 적다, 하지만 평균 원금상환액에서는 적자가구는 3,400만원, 흑자가구는 500만원으로 7배가 넘었다.
노형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구의 부채 규모를 통제할 수 있더라도 앞으로 물가상승과 금리상승 등의 영향이 미친다면 소비지출과 이자지급액 증가로 흑자가구의 가계재무 상태도 취약해질 수 있다”며 “흑자 여부를 막론하고 가계 차원의 자구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유안타증권, 금융센터인천본부점 투자설명회 개최
- [부고] 배윤수(NH투자증권 부산금융센터 WM1센터 센터장) 빙모상
- BNK부산銀, 총 1조원 규모 지역·해양기업 금융 지원 나선다
- 하나은행, 폐업 소상공인 재기 지원 사업 실시
- 케이뱅크, 대구 지역 소상공인 대상 600억 상생금융 지원
- 삼성전자,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반도체 최선호주'-KB
- 업비트 효자 둔 두나무…네이버와 빅딜 '촉각'
- 대체거래소, ETF 도입 박차…가격 급등락 대책은
- 부산銀 연체율 경고등…건전성 개선 과제
- 비에이치아이, '여수 LNG 복합화력 HRSG' 공급 계약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 유통군, 제1회 'AI 컨퍼런스' 개최
- 2DX KOREA 2026 조직위원회 공식 발족…"민·관·군 협력 가속화"
- 3KOTITI시험연구원, KGM과 모빌리티·배터리 기술협력
- 4신동와인, 클라랑델 아시아 최초 앰배서더로 ‘김덕주 소믈리에’ 선정
- 5네이버클라우드, 서울대와 소버린 AI·인재 양성 협력
- 6원주시민의날 기념 읍면동 노래자랑 개최
- 72025 원주라면페스타 9월 개최 확정
- 8한국관광공사,‘인바운드 마케팅 지원 서비스’설명회 개최
- 9춘천공공하수처리시설 이전·현대화사업 착공식 개최
- 10국도5호선 신림-판부 도로건설공사 전 구간 4차로 확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