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속 우영우, 현실은...산업부 ‧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 장애인 신규 채용 대부분 인턴 ‧ 계약직
정일영 의원, “장애인 근로자 의무 고용 취지 정면 배치…부담금 회피 꼼수 우려 ”

[서울경제TV=김재영기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인천 연수을)은 2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을 전수조사한 결과, 7개의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장애인 근로자의 과반이 인턴‧계약직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장애인 근로자가 있는 44개 공공기관 중 16개 기관은 신규채용한 장애인 근로자의 90% 이상을 인턴‧계약직으로 채용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산업부와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 중 장애인 신규채용자 전원을 인턴 또는 계약직으로 채용한 곳은 한국전기안전공사(25명), 코트라(32명), 기술보증기금(16명), 한전 KDN(14명),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13명)을 포함한 14개 기관에 이른다.
한국전력의 경우 2021년 채용한 129명의 장애인 중 118명을(91.4%), 한국가스안전공사는 49명의 신규채용 장애인 근로자 중 47명(95.9%)를 인턴‧계약직으로 채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하 장애인고용촉진법)에 따르면 정부 기관과 공공기관 등은 장애인이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특정 비율 이상 장애인을 고용해야 한다.
2021년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3.4%, 2022년은 3.6%이다. 이를 위반한 사업장은 한국 장애인고용공단에 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하지만 다수의 공공기관이 장애인 근로자를 직장 체험형 인턴이나 대체인력 등으로 채용해 고용의무 숫자만을 채운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 중 기술보증기금,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전략물자관리원 등은 지난 3년간 연도별 장애인 신규채용자 전원을 인턴이나 계약직으로 채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관련해 정일영 의원은 “장애인의무고용제도를 표면적으로만 충족하고자 인턴‧계약직으로만 의무고용률을 충족하는 ‘꼼수’를 부린 것”이라며 “이는 장애인에게 안정적 일자리 제공 기회를 부여한다는 제도의 취지와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 의원은 “계약직이나 인턴으로 장애인을 고용한 경우와 정규직 채용에 차등을 두어 의무고용율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 등이 검토되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jy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영남대 학생들,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챌린지 최우수상 수상
- iM뱅크(아이엠뱅크)-한국 딜로이트 그룹, 디지털자산 신사업 발굴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
- 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TF, 계란가격 안정화 위한 간담회 개최
- 대구대 학생들, 경산의 지역자원 혁신 굿즈로 디자인하다
- 부산도시공사, '2025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서 대통령상 표창 받아
- 대구교통공사 조정환 팀장, 철도시스템학과 공학박사 학위 취득
- 대구시의회, 대구시 민생 특별대책 사업 연계한 “확장형 민생 회복 추경” 가결
- LH 대구경북지역본부, 대구대명 LH참여형 가로주택정비사업 착공
- 계명대, ‘계명더하기 장학금’ 기부 활발…백순현 교수 1억 원 장학기금 조성
- 대구한의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하계방학 '단계별 취업 강좌' 성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B2B 의존에 글로벌 부진”…에넥스, ‘신성장동력’ 과제
- 2‘면허취소’ 경고에도…대우건설, 또 사망사고
- 3‘5.6mm 초슬림’ 아이폰 출격…스마트폰 신작 대전
- 4“소상공인 재기 돕는다”…‘희망리턴패키지’로 재도전
- 510조 과징금에 떠는 은행권…연내 폭탄 터지나
- 6“미래 선박 주도권 쥔다”…K조선, 친환경 전략은
- 7파죽지세 코스피, 일주일째 오르며 '사상 최고'
- 8영남대 학생들,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챌린지 최우수상 수상
- 9iM뱅크(아이엠뱅크)-한국 딜로이트 그룹, 디지털자산 신사업 발굴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
- 10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TF, 계란가격 안정화 위한 간담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