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속 우영우, 현실은...산업부 ‧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 장애인 신규 채용 대부분 인턴 ‧ 계약직
정일영 의원, “장애인 근로자 의무 고용 취지 정면 배치…부담금 회피 꼼수 우려 ”

[서울경제TV=김재영기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인천 연수을)은 2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을 전수조사한 결과, 7개의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장애인 근로자의 과반이 인턴‧계약직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장애인 근로자가 있는 44개 공공기관 중 16개 기관은 신규채용한 장애인 근로자의 90% 이상을 인턴‧계약직으로 채용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산업부와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 중 장애인 신규채용자 전원을 인턴 또는 계약직으로 채용한 곳은 한국전기안전공사(25명), 코트라(32명), 기술보증기금(16명), 한전 KDN(14명),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13명)을 포함한 14개 기관에 이른다.
한국전력의 경우 2021년 채용한 129명의 장애인 중 118명을(91.4%), 한국가스안전공사는 49명의 신규채용 장애인 근로자 중 47명(95.9%)를 인턴‧계약직으로 채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하 장애인고용촉진법)에 따르면 정부 기관과 공공기관 등은 장애인이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특정 비율 이상 장애인을 고용해야 한다.
2021년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3.4%, 2022년은 3.6%이다. 이를 위반한 사업장은 한국 장애인고용공단에 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하지만 다수의 공공기관이 장애인 근로자를 직장 체험형 인턴이나 대체인력 등으로 채용해 고용의무 숫자만을 채운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 중 기술보증기금,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전략물자관리원 등은 지난 3년간 연도별 장애인 신규채용자 전원을 인턴이나 계약직으로 채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관련해 정일영 의원은 “장애인의무고용제도를 표면적으로만 충족하고자 인턴‧계약직으로만 의무고용률을 충족하는 ‘꼼수’를 부린 것”이라며 “이는 장애인에게 안정적 일자리 제공 기회를 부여한다는 제도의 취지와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 의원은 “계약직이나 인턴으로 장애인을 고용한 경우와 정규직 채용에 차등을 두어 의무고용율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 등이 검토되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jy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담양, 농촌소득사업' 재정난 악화만↑…과감한 포기 '승부수' 성공 부른다
- 영덕군, 영덕 물가자미 축제. . .다음 달 7일부터 9일까지 개최
- 영덕군, 2축 사과원 조성 시범사업 평가회 개최
- 영남대 독도연구소, ‘독도교육 내실화 방안’ 학술대회 개최
- 부산교육청, 5세 유아 대상 '가을 숲에 물들다' 숲체험 행사
- 대구대 심준호 교수팀, 셀레늄 이용한 친환경 수전해 촉매 개발
- 포항시, ‘2025 포항 국제 수소연료전지 포럼’ 11월 개최
- 포항시, 2027년 ICLEI(지속가능한 도시협의회) 세계총회 개최도시 확정
- 김천시, '2025 김천김밥축제' 100배 더 즐기기 위한 팁 홍보
- 부산세관, 청사 리모델링 완료···27일 새 청사서 업무 스타트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차·기아 '2025 R&D 협력사 테크 데이' 개최
- 2신세계까사 까사미아, 다이닝 신제품 3종 출시
- 3'담양, 농촌소득사업' 재정난 악화만↑…과감한 포기 '승부수' 성공 부른다
- 4영덕군, 영덕 물가자미 축제. . .다음 달 7일부터 9일까지 개최
- 5영덕군, 2축 사과원 조성 시범사업 평가회 개최
- 6"지속가능 K방산 조성 앞장"…한화, 협력사와 상생 수출 박차
- 7영남대 독도연구소, ‘독도교육 내실화 방안’ 학술대회 개최
- 8"김창훈·김완선, 음악을 그리다"…갤러리 마리 특별전 개최
- 9SES AI, 배터리 소재 개발 AI 플랫폼 최신 버전 'MU-1' 공개
- 10SK케미칼-아리바이오, 치매 치료제 개발 업무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