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준 의원, "개인 간 거래(C2C) 플랫폼 분쟁 폭증, 기업들 선제적 대응 필요”
개인간 거래(C2C) 분쟁조정 신청 2017년 620건에서 2021년 4,177건으로 약 7배 증가
분쟁사례 공유 시스템 구축 등 변화하는 분쟁 사건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 필요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홍석준 의원(국민의힘, 대구 달서구갑)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 ICT분쟁조정센터에 접수된 개인간거래(C2C) 분쟁조정 신청이 2017년 620건에서 2021년 4177건으로 5년 사이 약 7배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보다 저렴한 중고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과 비대면을 선호하는 소비 패턴이 생겨나면서 관련한 갈등 및 분쟁 사건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거래형태별 전자거래 분쟁조정 신청 현황을 보면, 2017년 B2C 분쟁조정 신청이 1,357건으로 C2C 분쟁조정 신청 620건에 비해 2배 이상 많았지만, 2021년 C2C 분쟁조정 신청이 4177건으로 폭증하면서 B2B 분쟁조정 신청 899건을 약 4배 이상으로 격차를 벌렸다.
2021년 폭증한 개인간 거래(C2C) 분쟁조정 신청의 경우, 주요 3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A사 1620건(38.8%), B사 973건(23.3%), C사 780건(18.7%)으로 총 3,373건(80.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2C플랫폼 주요 3사의 분쟁조정 신청 및 금액의 경우, A사는 ▲2020년 352건 접수(6,222만원)에서 ▲2021년 1620건 접수(3억 7,932만원)로, B사는 ▲2020년 121건 접수(3,892만원)에서 ▲2021년 973건 접수(3억 4159만원)로, C사는 ▲2020년 173건 접수(5745만원)에서 ▲2021년 780건 접수(3억 1897만원)로 2020년 대비 2021년 기준 많게는 약 9배까지 폭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홍석준 의원은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화, 플랫폼 라이프의 사회 재편으로 각종 전자거래 시장이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신종 C2C 분쟁과 피해구제 요청 또한 폭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까다로운 분쟁 사례들이 증가하면서 소비자 보호에 공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플랫폼 사업자도 분쟁 방지 노력을 강화하는 등 이용자 보호를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면서, “플랫폼 사업자와 인터넷진흥원 등 정부기관 간의 분쟁사례 공유 시스템 구축, 분쟁조정 담당자의 조정 기법 강화를 위한 교육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기획Ⅱ] 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포토] 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 오산시, '오색찬란 희망찬 빛의 도시' 도약
- 부천 대장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줄줄이' 지연…입주민 교통대란 우려
- 한탄강·광릉숲, 유네스코 협력 논의…국제포럼 포천서 개막
- 포천시의회, 장자산단 안정화 대책 논의…기업 부담 완화 방안 모색
- 일제강제동원 제3자 변제 인감 위조…"책임자 처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2‘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3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4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5서울대병원, 이종조직판막 인간 재세포화 성공
- 6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 7고려대안산병원 서보경 교수, 유럽유방영상의학회 최다 인용 논문상 수상
- 8오산시, '오색찬란 희망찬 빛의 도시' 도약
- 9부천 대장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줄줄이' 지연…입주민 교통대란 우려
- 10한탄강·광릉숲, 유네스코 협력 논의…국제포럼 포천서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