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식 SK하이닉스 부사장 “기술 혁신으로 ‘넷제로’ 경쟁력 강화”
저전력 장비 개발, 신규 소재 발굴 등 탄소 저감 본격화
AI,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기반의 에너지 절감 추진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SK하이닉스가 오는 2050년 ‘넷제로(Net Zero)’ 달성을 위해 탄소 저감 항목 발굴에 힘쓰겠다고 2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탄소관리위원회를 출범해 ▲협력사와 저전력 장비 개발 ▲공정가스 저감 ▲AI·DT(Digital Transformation) 기반 에너지 절감 등 다방면에 걸쳐 탄소 저감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SK하이닉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Scope 1(직접 배출)과 2(간접 배출) 배출량 유지(2020년 수준), 재생에너지 사용률 33% 달성, 에너지 누적 절감 3,000GWh 달성, 공정가스 배출량 40% 감축 등 목표에 한 발짝씩 다가서는 중이다.
대표적으로 저전력 장비 개발 및 도입을 중심으로 탄소 저감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협력사와의 협업으로 처음 도입한 이너 히터(Inner Heater)는 기존 대비 50% 높은 효율로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반도체 공정에서 생기는 가스와 화합물을 가장 먼저 제거하는 1차 스크러버의 효율 개선, 유휴 대기 중인 장비의 저전력 모드 기능 개발 등 다양한 저전력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SK하이닉스는 공정가스 저감 활동 시행과 AI·DT 기술을 도입해 에너지 효율 제고에도 힘쓰고 있다. 회사는 이 시스템이 안착하게 되면 최대 45%까지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SK하이닉스의 탄소 저감 활동은 지난해 1월 사내에 설립된 ‘탄소관리위원회(탄관위)’가 주도해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도 탄관위는 신제품의 온실가스 저감 전략을 마련하고, 제품 생산 전 협력사로부터 원자재를 공급받거나 제품 판매 후 운송·사용·처분되는 과정에서 간접 배출되는 온실가스(Scope 3)를 감축하는 일도 맡는다.
김영식 제조·기술담당 부사장(탄관위 위원장)은 “회사의 성장과 투자가 지속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려면 지금부터 온실가스 저감 기술을 고민하고 개발해야 합니다. 이것이 탄관위가 출범한 이유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넷제로 경쟁력 확보는 이전까지 시도해보지 않은 도전 과제”라며 “글로벌 일류 기술 기업을 지향하는 SK하이닉스는 기술 혁신을 통해 생태계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넷제로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특사단, 독일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공급망 등 협력 확대"
- 주유소 휘발유값 소폭 상승…경유는 2주 연속 올라
- "MBK, 10년간 먹튀…홈플러스 위기는 예고된 참사"
- ‘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트럼프 움직인 K조선, 2분기 성적도 웃음꽃
- 웹툰·웹소설 눈독 들이는 게임 업계…IP 경쟁 돌입
- “車 관세 15% 유지”…FTA 효과 사라진 자동차 업계 ‘경고등’
- “그 초콜릿바, 얼마나 건강한가요?”…간식 산업이 바뀌고 있다
- '기름 팔던 땅’이 달라졌다…주유소의 변신
- LIG,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 썸머비치' 참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특사단, 독일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공급망 등 협력 확대"
- 2주유소 휘발유값 소폭 상승…경유는 2주 연속 올라
- 3"MBK, 10년간 먹튀…홈플러스 위기는 예고된 참사"
- 4‘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5트럼프 움직인 K조선, 2분기 성적도 웃음꽃
- 6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7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8여름철 수족구병 확산…영유아 감염자 비율 급증
- 9웹툰·웹소설 눈독 들이는 게임 업계…IP 경쟁 돌입
- 10“車 관세 15% 유지”…FTA 효과 사라진 자동차 업계 ‘경고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