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수술 앞두고 있다면…전신질환·골밀도 점검 필수

건강·생활 입력 2025-09-29 17:24:20 수정 2025-09-29 17:24:20 이금숙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강동경희대병원]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인체의 모든 장기가 그러하듯 40~50대가 되면 치아와 잇몸 뼈(치조골)의 노화도 상당 부분 진행된다. 개인별 차이는 있지만, 치주질환, 충치, 치아 파절 등으로 발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지면서 임플란트 치료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임플란트는 단순히 치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 건강과 골밀도까지 함께 고려해야 하는 종합적 치료다. 특히 노화가 시작되는 중장년층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자연 치아 기능에 가까운 치료법 임플란트
임플란트란 자연치아 뿌리에 해당하는 특수 금속의 나사 모양 인공구조물을 턱뼈 속에 심어서 뼈와 유착되면 그 위에 인공치아를 새롭게 만들어 주는 치료법이다. 치아와 비슷한 구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존 틀니 사용 시의 불편감이나 저작능률 감소, 인접 치아의 삭제 없이, 마치 자신의 치아처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임플란트는 염증이나 충격에 있어 원래의 치아, 치주조직보다 취약하므로 건강하게 오랜 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구강 위생관리와 정기적 치과 검진이 필수다.
최근 40~50대 비교적 젊은 중년층에서도 치주질환, 충치, 치아 파절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치가 늘면서 임플란트 치료를 받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젊을수록 회복 속도가 빠르고 성공률도 높지만, 나이 자체가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다. 임플란트는 치조골, 즉 뼈에 식립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뼈의 양과 질이 중요하다. 또한 개인의 전신 건강 상태와 골밀도에 따라 실제 치료결과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치료 전 전신질환·골밀도 점검 필수
때문에 임플란트 치료 전에는 치조골 및 뼈 상태는 물론 골 대사에 영향을 끼치는 전신질환에 대한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갱년기 이후 흔히 나타나는 골다공증은 성공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골다공증 치료제의 종류와 복용 기간도 중요한 변수가 되기 때문에 치과 의사에게 반드시 알려줘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는 관혈적인 시술이므로 지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 여부도 점검해야 하며, 항응고제 등 지혈에 방해가 되는 약물을 복용 중인 환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담당 주치의와 협진이 필요하다.

◇치료 후 관리가 임플란트 수명 좌우
임플란트는 시술 자체도 중요하지만 치료 후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관리가 소홀하면 임플란트 주변의 치조골이 흡수되거나, 부품이 파절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며, 가장 기본은 꼼꼼한 칫솔질이다. 특히 40~50대 중년층에게는 치조골 흡수를 막는 데 효과적인 치간 칫솔 사용이 특히 권장된다. 또한 부품 손상을 막기 위해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피해야 한다. 마른 오징어, 오돌뼈, 게 껍질, 딱딱한 누릉지처럼 과도한 저작력이 필요한 음식은 임플란트 파절 위험을 높이므로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플란트를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강 관리뿐 아니라 전신질환 관리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특히 치주질환은 입 안의 세균으로 인해 임플란트 주변 치조골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하므로, 시술 후에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당뇨병도 치주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임플란트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드시 철저한 혈당 조절을 해야 임플란트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브릿지·틀니 등 대체 치료 방법 고려 가능
만약 임플란트가 어렵다면 일반 보철치료인 브릿지, 부분 틀니, 완전 틀니 같은 보철 치료를 고려한다. 상실된 치아가 1~2개로 적고, 상실 부위의 앞뒤로 자연 치아가 튼튼하다면 브릿지 치료를 시행한다. 브릿지의 장점은 임플란트에 비해 치료 기간이 짧고 관혈적인 시술이 필요하지 않아 전신질환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는 점이다. 다만 건강한 자연 치아를 삭제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치아 상실 개수가 많거나 상실 부위 주변에 튼튼한 치아가 없는 경우에는 부분 틀니 치료를 고려한다. 부분 틀니는 브릿지와 마찬가지로 전신질환의 영향을 덜 받지만 보철물을 착탈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치아를 삭제해야 하며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제한이 따른다는 한계가 있다.
자연치아가 모두 발치된 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완전 틀니가 대안이 된다. 완전 틀니 역시 치료 기간이 짧고 수술 부담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 시 잇몸에 상처가 생기거나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부분 틀니보다도 음식물 섭취에 제한이 많아 환자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구강 상태와 생활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수진 강동경희대 치과병원 보철과 교수는 “중년층의 경우 아직 젊다는 생각 때문에 치료를 미루는 경우도 있지만, 발치를 무조건 늦추는 것만이 좋은 선택은 아니다”라며 “적절한 발치 시기를 놓치면 임플란트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해 본인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이금숙 기자

ks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