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밥상물가…2% 물가지수 흔들리나

[앵커]
최근 계속된 폭우로 채소류 등의 식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는 뉴스 자주 보셨을 텐데요. 문제는 추가 수해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곡물 가격 상승 등 물가 자극 요인이 많아,
최근 2%대로 다소 진정되고 있는 물가 상승세가 다시 오르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미현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집중 호우로 농작물 피해가 이어지면서 장바구니 물가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기준 상추 가격은 한 달 전보다 346%, 시금치 가격은 207% 넘게 급등했습니다. 같은 기간 애호박은 140%, 깻잎은 80% 올랐습니다.
장마가 끝나도 곧 다가올 폭염과 태풍 때문에 이런 먹거리 물가는 불안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다만, 정부는 이런 상황이 전체 물가 둔화 기조에까지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농축수산물이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데다,
물가 기조 자체는 둔화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어서 전반적인 시각을 바꿀 정도는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최근 국제 곡물 가격이 들썩이고 있는 점 등 대내외 상황을 모두 고려할 경우 하반기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단 관측이 나옵니다.
러시아가 흑해곡물협정을 중단한 데 이어 곡물 수출 거점인 오데사 항구를 포격하면서 지난 20일 밀 가격은 러시아가 협정 중단을 선언한 지난 17일보다 10% 넘게 올랐습니다.
[싱크] 이정희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우크라이나발 곡물 사태가 더 큰 변수죠. 그런 것들이 합쳐져서 농산물 (가격)을 움직일 경우에는 영향력이 상당히 커지겠죠."
경기 연착륙 기대감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유가도 물가를 또다시 자극할 수 있습니다.
지난 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 가격은 배럴당 77.07달러를 기록해 4주간 11.4% 올랐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미루고 있는 전기요금과 가스비 인상이 물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는 상황.
지표물가는 지난해 기저효과로 하락했지만 소비자 체감 물가는 계속 올라가는 가운데, 정부의 물가 관리 능력에 따라 향후 금리정책이 영향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츠, 현대케피코에 'EV 완속충전기' 본격 공급 개시
- "카톡으로 이사회 열었습니다"…'자학' 마다 않는 코스닥社
- 경남제약, '맛있는 비타민 레모나산' 리뉴얼 패키지 출시
- 케이지에이, 건식공정 기술·장비 개발 '선행 개발팀' 신설
- 삼성자산 'KODEX 머니마켓액티브' 순자산 7조원 돌파
- 신한운용 'SOL 코리아메가테크액티브', 순자산 1000억원 돌파
- 루켄테크놀러지스, 인터포저용 'M-POGO Pin' 수주
- 한투증권 "美 연준, 올해 9월·내년 3회 금리인하 전망"
- 농협은행, 인수금융 본격화…비이자수익 확대 노선
- "원스트라이크 아웃"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출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천세종병원 관상동맥우회술센터 개소
- 2위츠, 현대케피코에 'EV 완속충전기' 본격 공급 개시
- 3신세계사이먼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빌리지, '썸머 나잇 힐링 페스타' 개최
- 4의약품 관세 최혜국 대우…제약바이오협회 "중국 견제 기조 고려할 때 美 시장 확대 기회"
- 5삼성물산, 시공능력평가 12년 연속 1위…DL이앤씨·GS건설 순위 상승
- 6태광산업, 中 스판덱스 공장 중단…연말까지 중국사업 철수
- 7영천시, 문화관광복지국 주요사업 언론브리핑 개최
- 8경주시, APEC 앞두고 도심 하천 정비 박차...“북천을 품은 도시, 세계를 품는다”
- 9인디플러스 포항, ‘여름을 영화롭게!’ 상영 첫날 관객들 큰 호응
- 10경북테크노파크, 2025년 제1차 에너지절약위원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