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밥상물가…2% 물가지수 흔들리나

[앵커]
최근 계속된 폭우로 채소류 등의 식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는 뉴스 자주 보셨을 텐데요. 문제는 추가 수해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곡물 가격 상승 등 물가 자극 요인이 많아,
최근 2%대로 다소 진정되고 있는 물가 상승세가 다시 오르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미현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집중 호우로 농작물 피해가 이어지면서 장바구니 물가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지난 21일 기준 상추 가격은 한 달 전보다 346%, 시금치 가격은 207% 넘게 급등했습니다. 같은 기간 애호박은 140%, 깻잎은 80% 올랐습니다.
장마가 끝나도 곧 다가올 폭염과 태풍 때문에 이런 먹거리 물가는 불안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다만, 정부는 이런 상황이 전체 물가 둔화 기조에까지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농축수산물이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데다,
물가 기조 자체는 둔화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어서 전반적인 시각을 바꿀 정도는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최근 국제 곡물 가격이 들썩이고 있는 점 등 대내외 상황을 모두 고려할 경우 하반기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단 관측이 나옵니다.
러시아가 흑해곡물협정을 중단한 데 이어 곡물 수출 거점인 오데사 항구를 포격하면서 지난 20일 밀 가격은 러시아가 협정 중단을 선언한 지난 17일보다 10% 넘게 올랐습니다.
[싱크] 이정희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우크라이나발 곡물 사태가 더 큰 변수죠. 그런 것들이 합쳐져서 농산물 (가격)을 움직일 경우에는 영향력이 상당히 커지겠죠."
경기 연착륙 기대감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유가도 물가를 또다시 자극할 수 있습니다.
지난 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 가격은 배럴당 77.07달러를 기록해 4주간 11.4% 올랐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미루고 있는 전기요금과 가스비 인상이 물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는 상황.
지표물가는 지난해 기저효과로 하락했지만 소비자 체감 물가는 계속 올라가는 가운데, 정부의 물가 관리 능력에 따라 향후 금리정책이 영향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대내외 훈풍에 3%대 급반등…4000선 탈환
- 40개국 참여 세계어촌대회 개막…'지속가능 어촌' 논의
- 개미 '빚투'·외인 '곱버스'…숨고르기 속 정반대 베팅
- 키움증권, 카카오뱅크와 ‘26주적금with키움증권’ 출시
- 미래에셋운용, ‘K 배당 시리즈’ ETF 2종 순자산 1조 2000억원 돌파
- 한투증권, ‘쿼터백 로보일임’ 출시…업계 최다 라인업 완성
- [부고] 정만성(대신자산운용 대표이사)씨 모친상
- 에스티큐브 “대장암 1b상 결과 전원 종양 감소”
- [부고] 서민우(플루토스 부장) 씨 조모상
-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서 완전관해(CR) 달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덕군 강구면, 자매도시 청주시 북이면 ‘한마당 큰잔치’ 참가
- 2대구행복진흥원, 가족친화경영 기업문화 조성 앞장
- 3대구대, 대구남양학교서 ‘희망의 과학싹잔치’ 개최
- 4대구행복진흥원, 청소년 도전·성장 응원 축제장 마련
- 5대구교통공사, 태양광 발전용 임대사업 본격 추진
- 6코스피, 대내외 훈풍에 3%대 급반등…4000선 탈환
- 7빛으로 물든 연말…‘크리스마스 명소’ 경쟁 본격화
- 840개국 참여 세계어촌대회 개막…'지속가능 어촌' 논의
- 9현대차·기아, 슈퍼카급 전기차 비결…‘2단 모터’ 공개
- 1010대 건설사 분양물량 46% ‘뚝’…현대·GS건설 ‘반토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