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세계 최고층 321단 낸드 샘플 공개…“혁신지속할 것”
‘FMS 2023’서 개발 현황 알려…300단 이상 낸드 세계 최초
PCIe 5세대, UFS 4.0 등 차세대 낸드 솔루션 제품도 소개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SK하이닉스가 ‘321단 4D 낸드’ 샘플을 공개하며 업계 최초로 300단 이상 낸드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공식화했다.
SK하이닉스는 8일(현지시간)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개막한 ‘플래시 메모리 서밋(Flash Memory Summit, FMS) 2023’에서 321단 1Tb(테라비트) TLC(Triple Level Cell) 4D 낸드플래시 개발 경과를 발표하고 개발 단계의 샘플을 전시했다.
플래시 메모리 서밋(Flash Memory Summit, FMS)은 매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에서 열리는 낸드플래시 업계 세계 최대 규모 콘퍼런스(Conference)다.
메모리 업계에서 300단 이상 낸드의 구체적인 개발 경과를 공개한 것은 SK하이닉스가 처음이다. 회사는 321단 낸드의 완성도를 높여 2025년 상반기부터 양산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양산중인 현존 최고층 238단 낸드를 통해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321단 낸드 개발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며 “적층 한계를 다시 한번 돌파해 SK하이닉스가 300단대 낸드 시대를 열고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321단 1Tb TLC 낸드는 이전 세대인 238단 512Gb(기가비트) 대비 생산성이 59% 높아졌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을 더 높은 단수로 적층, 한 개의 칩으로 더 큰 용량을 구현할 수 있어 웨이퍼 한 장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전체 용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최근 메모리 시장은 챗(Chat)GPT가 촉발한 생성형 AI 시장의 성장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고성능, 고용량 메모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수요에 최적화된 차세대 낸드 솔루션 제품인 PCIe 5세대(Gen5)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기업용 SSD(Enterprise SSD, eSSD)와 UFS 4.0도 이번 행사에서 소개했다.
회사는 이 제품들이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확보해 고성능을 강조하는 고객들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했다.
이어 이번 제품들을 통해 진일보한 회사의 자체 솔루션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음 세대인 PCIe 6세대와 UFS 5.0 개발에 착수한 사실을 알리며, 업계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최정달 SK하이닉스 부사장(NAND개발담당)은 행사 기조연설에서 “당사는 4D 낸드 5세대 321단 제품을 개발해 낸드 기술리더십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AI 시대가 요구하는 고성능, 고용량 낸드를 시장에 주도적으로 선보이며 혁신을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특사단, 독일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공급망 등 협력 확대"
- 주유소 휘발유값 소폭 상승…경유는 2주 연속 올라
- "MBK, 10년간 먹튀…홈플러스 위기는 예고된 참사"
- ‘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트럼프 움직인 K조선, 2분기 성적도 웃음꽃
- 웹툰·웹소설 눈독 들이는 게임 업계…IP 경쟁 돌입
- “車 관세 15% 유지”…FTA 효과 사라진 자동차 업계 ‘경고등’
- “그 초콜릿바, 얼마나 건강한가요?”…간식 산업이 바뀌고 있다
- '기름 팔던 땅’이 달라졌다…주유소의 변신
- LIG,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 썸머비치' 참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특사단, 독일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공급망 등 협력 확대"
- 2주유소 휘발유값 소폭 상승…경유는 2주 연속 올라
- 3"MBK, 10년간 먹튀…홈플러스 위기는 예고된 참사"
- 4‘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5트럼프 움직인 K조선, 2분기 성적도 웃음꽃
- 6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7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8여름철 수족구병 확산…영유아 감염자 비율 급증
- 9웹툰·웹소설 눈독 들이는 게임 업계…IP 경쟁 돌입
- 10“車 관세 15% 유지”…FTA 효과 사라진 자동차 업계 ‘경고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