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안과 이동훈 교수 연구팀, SCOPUS 등재 저널 대한안과학회지 논문 게재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병원장 이창형)은 안과 이동훈 교수 연구팀(교신저자: 이동훈 교수 / 1저자: 대구파티마병원 안과 서보강 전공의‧공저자: 문종원 과장)의 논문이 최근 SCOPUS 등재 저널인 대한안과학회지에 게재되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동훈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은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에 따른 주관적 안건강(Subjective Eye Health Status by Extent of Internet and Smartphone Use by Korean Adolescents)’으로 이동훈 교수 연구팀은 “디지털 미디어 기기의 장시간 사용이 사용자의 신체 및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다수 있었다. 그 중 눈 피로감, 안구건조증, 내사시와 같은 안과 질환의 발생률을 높인다는 결과가 보고 되었다.”며 “우리나라는 만 3세 이상 인구의 91.9%가 인터넷 이용자이고, 90.5%가 스마트폰 이용자로 청소년에서의 사용 추이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국가 단위 대규모 설문조사인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결과를 이차 분석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디지털 미디어 기기의 사용과 관련된 주관적인 눈 불편함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동훈 교수 연구팀이 전체 203,252명의 자료를 복합표본 분석 한 결과 우리나라 중고생의 2019년 일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은 주중 2.48시간, 주말 4.03시간이었고, 2020년 스마트폰 일평균 이용 시간은 주중 4.72시간, 주말 6.56시간이었다.
또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 시간이 길수록 주관적으로 시력 문제 및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할 위험이 높았다.
이동훈 교수는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스스로도 시력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된 중요한 연구이다.”며 “시력과 굴절이상이 변하는 시기인 청소년기의 인터넷, 스마트폰의 이용에 대해 다각적인 관리 및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한 연구로써 임상 진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동훈 교수는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사시, 소아안과, 신경안과, 복시를 전문분야로 하고 있으며 지난해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수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전북자치도교육청, 고교생 대상 ‘학점 인정 학교 밖 주말 강좌’ 운영
- 전북자치도교육청,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청렴문화 정착 총력”
- 전북개발공사, ‘스마트 퇴근 알림톡’ 시행…복무 관리 효율화
- 완주군, ESG 경제대상 사회분야 전국 1위
- 완주군, 중소기업 위해 301억 원 융자지원
- 무주군, 행안부 청년마을 조성사업 선정…‘산타지 마을’로 6억 확보
- 전춘성 진안군수, 통합복지카드 직접 점검…“현장 불편 즉시 개선”
- "진안 모델 전국으로"…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계절근로 현장 점검
- 전북자치도, ‘기후변화주간’ 운영…22일 도청 등 14개 청사 소등
- 김관영 전북도지사, 국회서 추경예산 총력전…AI·축사매입 등 300억 요청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자치도교육청, 고교생 대상 ‘학점 인정 학교 밖 주말 강좌’ 운영
- 2전북자치도교육청,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청렴문화 정착 총력”
- 3전북개발공사, ‘스마트 퇴근 알림톡’ 시행…복무 관리 효율화
- 4완주군, ESG 경제대상 사회분야 전국 1위
- 5완주군, 중소기업 위해 301억 원 융자지원
- 6무주군, 행안부 청년마을 조성사업 선정…‘산타지 마을’로 6억 확보
- 7전춘성 진안군수, 통합복지카드 직접 점검…“현장 불편 즉시 개선”
- 8"진안 모델 전국으로"…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계절근로 현장 점검
- 9전북자치도, ‘기후변화주간’ 운영…22일 도청 등 14개 청사 소등
- 10김관영 전북도지사, 국회서 추경예산 총력전…AI·축사매입 등 300억 요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