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카닷컴, 1분기 중고차 트렌드 소개…"관심은 프리미엄, 구매는 실속"
"최다 구매 모델 그랜저, 카니발"

[서울경제TV=김서현 인턴기자] 자동차 거래 플랫폼 엔카닷컴은 1분기 검색수, 구매 대수, 평균 판매일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초반 관심은 프리미엄 모델이지만 실제 구매는 실속형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종합 검색수와 구매 대수 TOP 20을 살펴보면, 검색수 상위 20개 모델 중 11개 모델이 벤츠, BMW, 제네시스 등 프리미엄 브랜드 모델이었던 데 반해 실 구매 모델 순위에는 4개 모델만 프리미엄 브랜드 모델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는 실용성과 합리적 가격을 갖춘 국산 중형 세단과 SUV 및 RV, 경차가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검색수1위는 E-클래스 W213, 2위는 5시리즈 (G30)였으며, 3위부터 5위는 G80 (RG3), GV80, 그랜저 IG가 차지했다. 6위부터 10위까지는 S-클래스 W222, 더 뉴 그랜저 IG, G80, 카니발 4세대, 3시리즈 (G20)였다. 이 외 20위까지는 7시리즈 (G11), X5 (G05), GV70, 쏘렌토 4세대, 더 K9 등이 순위에 들었다.
종합 구매 대수 TOP 20의 경우 1위 E-클래스 W213과 2위 5시리즈 (G30), 11위 G80 (RG3), 16위 G80을 제외한 나머지 모델은 모두 국산 대중 모델이었다. 특히 그랜저와 카니발은 다양한 세대 별 모델이 상위권을 기록해 1분기 가장 많이 거래된 인기 국산 모델로 확인됐다.
3위부터 5위는 그랜저 HG, 그랜저 IG, 팰리세이드였으며, 이어 6위부터 10위까지는 카니발 4세대, 더 뉴 그랜저 IG, 더 뉴 카니발, 더 뉴 레이, 올 뉴 카니발 순이었다. 이 외 레이, 올 뉴 모닝 등 경차와 준중형 SUV인 쏘렌토 4세대, 싼타페 TM, 올 뉴 투싼, 그리고 K5 3세대, 아반떼 AD, 쏘나타 (DN8) 등이 20위 순위권에 들었다.
평균 판매일이 빠른 모델은 주로 경차, 소형 세단•SUV, 준중형 SUV로 나타났다. 국민 경차 기아 더 뉴 모닝(JA)은 16.49일의 가장 짧은 평균 판매 기간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17.41일이 걸린 5시리즈 (G60)가 2위, 이 외 더 뉴 아반떼 (CN7), 더 뉴 셀토스, 트랙스 크로스오버, 더 뉴 쏘렌토 4세대, 더 뉴 기아 레이 등이 평균 한 달 내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경차는 중고차 시장에서 전통적으로 인기가 많은 차종이다. 대형 모델 대비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고, 3월 새 출발을 앞두고 첫차나 세컨드카로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많아 비교적 빠르게 판매된 것으로 보인다. /bodo_celeb@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中 수출 규제로 이트륨 가격 폭등…첨단 산업 전방위 '비상'
- 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대응 2단계 발령, 헬기 8대 투입
- 한미 협상 후폭풍…민주 ‘성과론’ vs 국힘 ‘검증론’ 충돌
- "日, 고물가 대응 위해 180조원대 투입…추경 130조원 전망"
- 김영훈 노동장관 “울산화력 사고 구조적 원인 규명…엄정 수사”
- 조태용 전 원장, 구속 타당성 다툰다…16일 구속적부심
- 中, 자국민에 일본 방문 경고…‘대만 유사시’ 발언 후 파장 확대
- 美 트럼프 행정부, 알리바바–중국군 연계 의혹 우려
- 세븐일레븐, 3분기 영업손실 16억원…전년比 84%↓
- 상·하위 주택 자산 격차 45배…40대 이하 유주택자 3년째 감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中 수출 규제로 이트륨 가격 폭등…첨단 산업 전방위 '비상'
- 2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대응 2단계 발령, 헬기 8대 투입
- 3순창군의회, "농어촌 기본소득 국비 40%는 부족"
- 4남원시, 혹한 대비 '대설·한파 대책기간' 운영
- 5한미 협상 후폭풍…민주 ‘성과론’ vs 국힘 ‘검증론’ 충돌
- 6"日, 고물가 대응 위해 180조원대 투입…추경 130조원 전망"
- 7김영훈 노동장관 “울산화력 사고 구조적 원인 규명…엄정 수사”
- 8조태용 전 원장, 구속 타당성 다툰다…16일 구속적부심
- 9中, 자국민에 일본 방문 경고…‘대만 유사시’ 발언 후 파장 확대
- 10美 트럼프 행정부, 알리바바–중국군 연계 의혹 우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