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긴축 시대 종료…금통위 38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25%…38개월 만에 통화긴축기조 종료
금리인하 결정 배경…물가안정·가계부채 증가세 둔화·외환시장 리스크 완화
고금리 장기화 따른 내수부진 우선 해결 판단
美 연준 기준금리 ‘빅컷’ 단행도 금통위 영향 미쳐
"가계부채·집값 상승 불씨 여전…정책공조로 관리할 것"

[앵커]
3년 여간 지속됐던 통화긴축 기조가 종료 됩니다. 한국은행은 오늘 기준금리를 0.25%p 낮췄습니다. 가계부채 자극에 대한 불안감이 있지만, 내수 경기 부양 필요성이 커졌다고 판단하며 이 같은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오전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연 3.25%로 0.25%p 인하했습니다.
금통위원 7명 가운데 6명이 기준금리를 0.25%p 인하 결정에 동의했습니다.
2021년 8월 기준금리 0.25%p 인상과 함께 시작된 통화긴축 기조가 38개월 만에 방향을 바꾼 겁니다.
금통위는 이번 금리인하 결정 배경으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9월 1.6%로 낮아지는 등 물가안정 목표가 달성된 점,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외환시장 리스크가 다소 완화된 상황을 꼽았습니다.
아울러 금통위는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세가 더딘 탓에 지난 8월 2.5%에서 하향 조정한 경제성장률 2.4% 조차도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현 시점에서 고금리 장기화로 침체된 내수 경기에 숨통을 틔워 주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면서 실질금리 측면의 통화긴축 정도가 강화되고 성장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금리 인하를 통해 긴축 정도를 완화할 필요가 커졌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지난달 기준금리를 한번에 0.5%p 인하하는 '빅컷' 단행도 금통위의 이번 결정에 운신의 폭을 넓힌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가계부채 문제와 수도권 중심 집값 상승 불안감 등 금융안정 측면 위험 불씨는 여전합니다.
금통위는 금리인하가 가계부채 미치는 영향 등 위험 요인에 유의해야 한다며, 향후 정부와 정책공조를 통해 관리할 계획임을 강조했습니다.
다음 달 예정된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자신을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5명은 3개월 뒤에도 기준금리를 3.25%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yalee@sedaily.com
[영상취재: 강민우]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혼다코리아, 4월 자동차 구매 프로모션…전 차종 100만원 할인
- 2한국씨티은행
- 3금호타이어, ‘휠얼라인먼트 전문 관리사’ 민간자격증 발급
- 4롯데온, 최대 규모 그룹 통합 페스타 ‘롯데 온쇼페’ 진행
- 5에르네스, 뉴질랜드 와인 ‘스톤베이 소비뇽블랑’ GS리테일 입점
- 6디딤365, 충남신용보증재단에 ‘클라우드 기반 통합 운영 환경’ 구축
- 7기장군, 외식업중앙회 기장군지부와 '기장역 이용활성화' MOU 체결
- 8IBK쇄신위원회 오늘 첫 회의 열고 내부통제 논의
- 9NH농협금융, 내부제보 활성화 추진…익명제보 접수채널 도입
- 10진에어, 항공 안전 강화 ‘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 도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