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긴축 시대 종료…금통위 38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25%…38개월 만에 통화긴축기조 종료
금리인하 결정 배경…물가안정·가계부채 증가세 둔화·외환시장 리스크 완화
고금리 장기화 따른 내수부진 우선 해결 판단
美 연준 기준금리 ‘빅컷’ 단행도 금통위 영향 미쳐
"가계부채·집값 상승 불씨 여전…정책공조로 관리할 것"

[앵커]
3년 여간 지속됐던 통화긴축 기조가 종료 됩니다. 한국은행은 오늘 기준금리를 0.25%p 낮췄습니다. 가계부채 자극에 대한 불안감이 있지만, 내수 경기 부양 필요성이 커졌다고 판단하며 이 같은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오전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연 3.25%로 0.25%p 인하했습니다.
금통위원 7명 가운데 6명이 기준금리를 0.25%p 인하 결정에 동의했습니다.
2021년 8월 기준금리 0.25%p 인상과 함께 시작된 통화긴축 기조가 38개월 만에 방향을 바꾼 겁니다.
금통위는 이번 금리인하 결정 배경으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9월 1.6%로 낮아지는 등 물가안정 목표가 달성된 점,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외환시장 리스크가 다소 완화된 상황을 꼽았습니다.
아울러 금통위는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세가 더딘 탓에 지난 8월 2.5%에서 하향 조정한 경제성장률 2.4% 조차도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현 시점에서 고금리 장기화로 침체된 내수 경기에 숨통을 틔워 주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면서 실질금리 측면의 통화긴축 정도가 강화되고 성장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금리 인하를 통해 긴축 정도를 완화할 필요가 커졌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지난달 기준금리를 한번에 0.5%p 인하하는 '빅컷' 단행도 금통위의 이번 결정에 운신의 폭을 넓힌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가계부채 문제와 수도권 중심 집값 상승 불안감 등 금융안정 측면 위험 불씨는 여전합니다.
금통위는 금리인하가 가계부채 미치는 영향 등 위험 요인에 유의해야 한다며, 향후 정부와 정책공조를 통해 관리할 계획임을 강조했습니다.
다음 달 예정된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자신을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5명은 3개월 뒤에도 기준금리를 3.25%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yalee@sedaily.com
[영상취재: 강민우]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스타벅스 말고 올리브영”…상권의 ‘앵커’가 바뀌고 있다
- 하나금융, 5년간 100조 투입…금융 대전환 선봉에
- 10만전자·50만닉스 눈앞…투톱 시총 1000조 시대 여나
- 원자력 르네상스 온다…한화운용 원자력 ETF 수혜 전망
- [부고] 선창훈(한양증권 자본시장1부 상무)씨 부친상
- 코아스, 부실기업만 골라 출자? 수상한 투자 행보
- 케이쓰리아이, '재팬 IT 위크' 참가…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 대진첨단소재, 37년 경력 전문가 '김기범 신임 대표이사' 선임
- NH농협은행, 'APEC 2025 KOREA 성공 개최를 위한 예금' 조기 완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