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 지자체 '챗GPT'사용 증가...AI 구독료로 연 4억 원 지출
전국
입력 2025-03-09 11:00:49
수정 2025-03-09 11:01:22
나윤상 기자
0개
中 딥시크 사용 지자체는 없어
양부남 의원 "공공 문서나 개인정보 유출 관리, 보안 대책도 마련해야

[서울경제TV 광주⋅전남=나윤상 기자] 전국 지자체가 생성형 인공지능(AI)프로그램을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관리와 보완대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9일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7개 시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지자체가 공무원의 업무 지원 등을 위해 지출된 생생형 AI 구독료는 모두 3억 9168만 6165원으로 확인됐다.
지자체 별로는 제주가 6871만여 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5634만여 원), 경기(4675만여 원), 전남(4454만여 원), 충남(4313만여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자체의 생성형 AI 총 이용자 수는 '산출 불가'라고 밝힌 경기도를 제외한 3687명이다.
충남이 1274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858명), 서울(440명), 대전(275명)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지자체가 가장 많이 사용한 프로그램은 챗GPT였다. 미국의 오픈AI사가 개발한 대화형 AI 서비스인 챗GPT는 17개 시도 모두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챗GPT에 이어 '클로드'와 텍스트를 입력하면 AI가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미드저니'는 5곳의 지자체가 발표 자료나 웹사이트 제작을 지원하는 '감마'는 4곳의 지자체가 이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밖에 음악 제작 도구인 '수노', AI 기반 검색 서비스인 '퍼플렉시티', 문장을 음성으로 변환해 영상에 합성할 수 있는 서비스인 '네이버 클로바 더빙', 동영상 압축 서비스인 '블루닷' 등이 구독 목록에 포함됐다.
가장 많은 프로그램을 구독한 지자체는 서울과 경기로, 각 10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었다.
앞서 보안상 우려가 제기되면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접속 차단이 잇따랐던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를 구독하는 지역은 없었다.
양 의원은 "생성형 AI 활용으로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는 순기능이 있지만, 업무 외 용도에 대한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최근 딥시크 논란에서 보듯 공공 문서나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철저한 관리와 보안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kncfe0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학야구계 신흥 강호로 부상"…기장BC, '대통령기 전국중학야구대회' 첫 우승
- '장수작은도서관' 이전…주민문화공간으로 재탄생
- 최훈식 장수군수, 폭염 대비 축산농가 현장 점검
- 고창군, 인천공항행 시외버스 하루 5회 '증편 운행'
- 김천시, ‘2025 김천김밥축제’ 참여업체 공개 모집
- 원자력환경공단, 원자력연구원과 고준위 방폐물 기술개발 업무협약 체결
- 경주시-포스코-경북도, SMR 1호기 경주유치 협약 및 원전활용 협력키로
- 김천시, 하반기 민생경제 회복 앞당긴다
- 영천시, 주요관광지 등 QR코드 부착으로 관광객 편의 강화
- 이강덕 포항시장 “포항 미래 성장 이끌 핵심 현안 사업 추진에 만전 기해야"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2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3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4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5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6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7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8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9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10"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