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한국의 맛’ 광고, ‘애드페스트 2025’ 2개 부문 은상
경제·산업
입력 2025-03-25 08:51:45
수정 2025-03-25 08:51:45
유여온 기자
0개
‘로코노미(Local-nomy) 버거’ 광고
21년부터 진행된 로컬 소싱 프로젝트
‘한국의 맛’ 누적 판매량 2400만 돌파

[서울경제TV=유여온 인턴기자] 한국맥도날드는 ‘한국의 맛(Taste of Korea)’ 프로젝트 광고가 ‘애드페스트(ADFEST) 2025’ 광고제에서 2개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고 25일 밝혔다.
애드페스트는 1998년 처음 시작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글로벌 광고제로, 올해 한국맥도날드는 ‘한국의 맛’ 프로젝트 광고를 출품해 ‘이펙티브 로터스(Effective Lotus)’, ‘크리에이티브 전략(Creative Strategy)’ 두 개 부문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한국의 맛’은 한국맥도날드가 지난 2021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로컬 소싱 프로젝트로, 고품질의 국내산 식재료를 활용한 신메뉴를 출시해 고객들에게는 맛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지역경제에는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취지로 시작됐다. 한국맥도날드는 현재까지 ‘창녕 갈릭 버거’, ‘보성녹돈 버거’, ‘진도 대파 크림 크로켓 버거’, ‘진주 고추 크림치즈 버거’ 등 다양한 로코노미 버거 시리즈를 선보였다.
또한 한국맥도날드는 해당 캠페인을 통해 지역 농산물을 주재료로 활용해 메뉴를 선보이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해당 지역의 주민이 직접 참여한 영상 광고를 선보이며 진정성을 더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이라는 캠페인 취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한편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스토리텔링과 전략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냈다는 점이 이번 광고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맥도날드가 한국의 맛 프로젝트를 통해 출시한 메뉴들의 누적 판매량은 약 2400만 개를 넘어섰으며, 이 과정에서 800톤의 국내산 식재료를 수급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했다.
한국맥도날드 관계자는 “한국의 맛 광고 캠페인의 창의적이고 진정성 있는 접근 방식이 글로벌 광고계에서 인정받아 매우 영광이다”라며 “앞으로도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긍정적인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맥도날드 ‘한국의 맛’ 프로젝트의 광고 캠페인은 지난해에도 ‘아시아 태평양 에피 어워드(APAC Effie Awards)’와 ‘에피 어워드 코리아(Effie Awards Korea)’에서 각각 ‘브론즈 에피(Bronze Effie)’와 대상을 수상하며 그 사회적 가치와 창의적 역량을 인정받은 바 있다. /yeo-on03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멀츠, ‘울쎄라피 프라임’ 앰배서더에 전지현∙이민호 선정
- CJ올리브영, 상반기 글로벌몰 매출 70% ‘껑충’
- 게임업계, 내부 일탈 ‘몸살’…“대책 마련 시급”
- 부영 오너家 194억 배당…증여세 마련? 꼼수 배당?
- SSG닷컴, ‘쓱페이’ 팔까…“사업 분할·법인 설립”
- 상법 개정 여파…한진칼, 경영권 분쟁 재점화하나
- 현대로템, 폴란드서 또…K2전차 추가 수출 기대감 ‘쑥’
- 美서 귀국한 이재용 “열심히 하겠다”…뉴삼성 ‘속도’
- HS효성 조현상, 김건희 특검 소환 통보 받아…"부실기업 투자 아냐"
- 벤츠 코리아, 세계 최초 ‘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 오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포, 철도·교육·문화로 “미래 70만 도시 청사진”
- 2경기도, '똑버스'...시군 경계 넘어 '300대' 눈앞
- 3오산시, 오산시세금으로 화성시 하수처리,, “매년 적자“
- 4용인특례시의회, 제 294회 임시회 개회
- 5경기도, 서부권 GTX...'김포~청량리 연결' 예타 통과
- 6경기도, 돌봄의료 본격화..."시군 맞춤형 모델 구축"
- 7인천 미추홀구, 자동차 공회전 안내표지판 전면 교체
- 8인천시, 해상풍력 지정 위한 민관 소통 본격화
- 9김찬진 인천 동구청장, 동구청장배 농구대회 열어
- 10박용철 인천 강화군수, 폭염 취약계층 보호 총력 대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