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카카오엔터 IPO 어렵자 매각 결정
경제·산업
입력 2025-04-09 09:49:54
수정 2025-04-09 09:49:54
이수빈 기자
0개
기업가치 11조 원 안팎 거론
M&A로 사세 무리하게 확장
인수기업 실적 급락에 부담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주요 주주사에 보낸 서한에서 경영권을 매각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다른 주주들의 드래그얼롱(동반매각청구권) 의사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엔터는 2019년 카카오페이지 시절부터 IPO를 준비했으나 쪼개기 상장 등 각종 논란으로 상장 작업을 중단했다. 카카오가 IPO 대신 경영권 매각을 택한 건 현재 시장 상황에서 상장하더라도 제대로 가치를 인정받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나스닥 상장도 타진했지만 쉽지 않다고 본 것으로 분석된다.
카카오엔터의 전체 기업가치는 11조 원 안팎으로 거론된다. 2023년 초 PIF와 GIC로부터 약 1조2000억원을 투자받으며 이 같은 몸값이 책정됐다. 주요 인수 후보로는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 등 게임사 및 하이브 등 대형 엔터사, 대형 PEF 등이 거론된다.
카카오엔터는 뮤직(연예기획), 스토리(웹툰 웹소설), 미디어(제작사) 등 크게 세 가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웹툰과 카카오페이지, 멜론 등이 대표적인 사업이다.
카카오엔터는 잇단 인수합병(M&A)으로 사세를 확장해나갔다. 2022년엔 약 1조원을 투입해 북미 웹소설 플랫폼인 래디시와 타파스를 인수했다. 카카오엔터의 자회사는 지난해 42개까지 늘어났다. 2023년 카카오와 함께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을 확보하며 몸값이 한때 20조원까지 거론되기도 했다.
하지만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창업자인 김범수 전 의장과 주요 경영진이 수사를 받는 등 풍파를 겪으며 카카오는 창업 이후 최대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저금리 시기 공격적인 M&A로 사세를 무리하게 확장한 후유증도 적지 않았다. 무리한 기업가치로 인수한 기업들이 인수 직후 실적이 급락하면서 모회사인 카카오의 부담으로 이어져 결국 매각을 통한 현금화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카카오가 카카오톡과 인공지능(AI) 외 비주력 사업 정리에 힘을 쏟고 있는 것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을 추진하는 이유로 지목된다. 실제 카카오는 카카오게임즈 계열사인 카카오VX를 연내 매각하기로 하고, 포털 '다음'을 담당하는 사내독립기업(CIC)의 분사를 추진 중이다.
카카오엔터 최대주주는 카카오(66.03%)다. 그다음으로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한 건 홍콩계 PEF 앵커PE(약 12.42%)다. 이 외에 GIC와 PIF가 각각 5.1%를 갖고 있다. 중국 텐센트도 약 4.6%를 보유 중이다.
카카오엔터는 다양한 전략적 투자자(SI)와 재무적 투자자(FI)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보니 주요 투자자의 이해관계가 엇갈려 매각 방안을 둘러싼 입장 조율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앵커PE는 10여 년 전부터 투자해 온 초기 투자자로, 신속한 엑시트가 절실하다.
뒤늦게 합류한 PIF와 GIC는 기대 수익에 못 미치는 매각에는 동참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투자 시점과 회수 전략에 차이가 있는 만큼 일각에서는 통매각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과 관련해 카카오 측은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