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챗GPT 유료 계정 기본 도구 도입…‘AI 퍼스트’ 조직 전환 가속화

금융·증권 입력 2025-07-07 08:43:27 수정 2025-07-07 08:43:27 김민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계정 지원, LLM 공작소 운영 등 활용 체계
민감정보 차단, 망분리 등 보안 기준도 강화

[사진=토스]

[서울경제TV=김민영 인턴기자] 토스는 인공지능(AI) 활용을 조직 전반으로 확대하기 위해 챗GPT 유료 계정인 ‘엔터프라이즈 플랜 라이선스(Enterprise Plan License)’를 공식 도입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도입으로 토스 팀원들은 더 이상 별도로 구매를 신청하지 않아도, 업무용 이메일로 로그인만 하면 챗GPT 유료 계정을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토스는 AI 에이전트 중심의 업무 환경을 한층 고도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AI 에이전트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Large Language Model)을 기반이다. 이를 통해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작업을 스스로 판단하고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토스는 팀원들이 챗GPT를 실제 업무에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조직 차원의 지원 체계도 함께 갖췄다. 특히 챗GPT 사용 중 생기는 궁금증이나 보안 관련 문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전용 지원 채널을 상시 운영하며, 구성원들이 AI를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팀원들이 AI를 보다 심화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LLM 공작소’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팀별로 AI를 활용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으면, 사내 LLM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적용 가능 사례를 제안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도 설계해보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토스는 팀원들이 AI를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하는 역량까지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보안 측면에서도 체계적인 가이드라인과 기술적 통제 장치를 함께 구축했다. 토스가 도입한 챗GPT ‘엔터프라이즈 플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학습에 활용하지 않으며, 강력하고 세밀한 권한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갖춰 더욱 안전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여기에 더해 토스는 소스코드, 인프라 정보, 고객 개인정보, API 키 등 주요 민감 정보의 입력을 금지하고 있다. 입력이 감지될 경우 실시간으로 자동 탐지되며, 관련 팀원에게 즉시 사유 확인 절차가 진행된다.

특히 토스앱 혹은 토스 팀원들이 사용하는 망분리된 내부 시스템과 챗GPT의 직접 연동은 금지되며,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금융규제 샌드박스) 지정 항목에 한해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현재 연동 가능한 항목은 코드 자동 문서화, 광고 소재 검수, 다국어 번역 기능, 상품 카테고리 예측 등 14개 항목에 한정된다. 

토스 관계자는 “챗GPT 유료 계정 도입은 AI 퍼스트 조직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라며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혁신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실행 전략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melissa688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