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미애 의원 “K-FOOD 수출 1위‘라면’, 국산원료 5% 불과”

전국 입력 2025-10-16 11:26:53 수정 2025-10-16 11:26:53 김정희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역대급 실적에도 농민들은 웃지 못해
임미애 “수출식품산업, 국내농업과 연계방안 마련해야”


[서울경제TV=김정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연일 “K-FOOD 수출 역대 최대 실적”을 홍보하고 있지만, 주요 수출품목의 국산 원료 비중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수출산업이 국내 농업과 연계되지 못한 채 6239성장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K-FOOD 수출액은 ▲2021년 85억6천만 달러 ▲2022년 88억9천만 달러 ▲2023년 91억6천만 달러 ▲2024년 99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 전년 대비 9% 증가하며 9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수출을 견인한 1위 품목은 단연‘라면’이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12억4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31% 급증했다.

이어 과자류(7억7,040만 달러, +17.4%), 음료(6억6,270만 달러, +15.8%), 소스류(3억9,400만 달러, +4.1%), 커피조제품(3억3,500만 달러, +2.7%), 인삼류(3억2,450만 달러, △2.0%), 쌀가공식품(2억9,920만 달러, +38.4%), 김치(1억6,360만 달러, +5.2%) 순이었다.

그런데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비례대표)이 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2024 식품산업 원료소비실태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주요 수출품목의 국산 원료 사용 비율이 매우 저조했다. 

우선, 수출 1위 품목인 라면(면류)의 경우 원료의 95%가 수입산이고 국산은 5%에 불과했다. 특히 이중 밀가루의 국산비중은 0.3%로 매우 저조했다.

2위인 과자류는 국산비중이 15.4%다. 음료는 38.8%, 소스류 19.4%, 커피조제품 0%, 인삼류 100%, 쌀가공식품 61.5%, 김치 96.4%로 확인됐다. 인삼류과 김치, 쌀가공식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출식품이 식품원료의 절반 이상을 수입산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가들의 입장에서는 아쉬움이 크다. 우선, 라면의 경우 연간 밀가루 사용량 147만톤 중 26%인 38.5만톤이 라면에 소비되는데 라면 소비 밀가루의 10%만 국산밀로 대체해도 연간 국산밀 생산량을 모두 소진할 수 있다. 작년 국산밀 생산량은 3만7천톤인데 판로가 막혀 현재 재고량만 6만톤 넘게 창고에 쌓여 있는 실정이다. 

농식품부는 ‘식품산업진흥법’제3조에 따라 식품산업과 농업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시책을 수립·시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농식품부가 연일 K-FOOD의 수출실적을 강조하면서도 수출 식품산업의 성장이 국내 농업산업기반과 연계되지 못하는 문제에 대한 뚜렷한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임미애 의원은 “농식품부가 K-FOOD 수출 홍보에만 열을 올릴 것이 아니라 국내 농업과 식품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구조적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농산물 생산기반이 무너지면 K-FOOD의 지속가능한 성장도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김정희 기자

95518050@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