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규근 의원 "최근 5년 새 주담대 잔액 30대 이하 증가폭 최대"
전국
입력 2025-10-20 11:33:44
수정 2025-10-20 11:33:44
김정희 기자
0개
올해 2분기 주담대 잔액 ‘30대 이하’ 최근 5년새 증가폭 최대, 50대·60대도 나란히 증가 반면 40대 감소
기타대출 22년 1분기 이후 계속 감소하다 증가 추세로 바뀌어, 60대 이상 가장 많이 증가해
가계대출 잔액 은행과 비은행권 구분, 은행권은 30대가 비은행권은 60대가 가장 많이 늘어
차규근 의원 “주담대와 은행권의 경우 30대가 가장 많이 증가하고, 기타대출과 비은행권은 60대 이상이 가장 많이 늘어”

[서울경제TV=김정희 기자]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기획재정위원회)은 20일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들어 30대 이하의 주담대 잔액 증가폭이 최근 5년새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2분기 연령대별 주담대 잔액을 확인해보면, 30대 이하의 주담대 잔액이 1분기 대비 9.4조원이 증가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50대는 1조원 60대 이상은 5.7조원이 증가했다. 반면 40대는 0.8조원이 감소했다.
기타대출(카드대출, 신용대출 등)의 경우에는 22년 1분기부터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 올해 2분기에 다시 증가했다. 이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의 잔액이 202.6조원으로 가장 많이 늘었으며 30대 이하 또한 증가했다. 반면 40대와 50대는 모두 잔액이 감소했다.
한편 가계대출 잔액을 은행권과 비은행권으로 구분해서 보면, 은행권의 경우 30대 이하 계층이 9.8조원이 증가하며 전 연령대별 중에 가장 많이 늘어났고 50대와 60대 이상도 나란히 증가했다. 40대의 경우에는 잔액이 감소했다.
비은행권 잔액의 경우에는 올해 1분기 들어서며 감소추세를 보이다 2분기에 다시 증가했다. 이를 연령대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이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이어 30대 또한 증가했다. 반면 40대와 50대는 감소했다.
차규근 의원은 “30대 이하 연령층에서 주담대가 최근 5년 새 최대 증가폭을 보였으며 은행권에서도 전 연령대중에 가장 많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라며 “한편 60대 이상은 기타대출과 비은행권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60대 이상 계층이 금융 취약계층으로 몰리고 있다는 것이며 정부는 어르신들을 위한 지원정책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살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차, 美 타임 선정 '세계 최고 기업' 33위…"토요타 제치고 亞 1위"
- 2메리몽드, 라인프렌즈 미니니와 에이블리서 스페셜에디션 론칭
- 3하남시, ‘K-POP 댄스 챌린지’ 23일 전역 생중계
- 4화성특례시, 안산시·시흥시 ‘시화호 활성화 공동협약’ 체결
- 5가평군, 자라섬서 세계적 재즈 뮤지션과 인터뷰
- 6남양주시, 아동안전 강화…‘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한걸음
- 7의정부시, 정신건강의 날 캠페인 개최
- 8차준택 인천 부평구청장, 주민자치 활성화 현장 점검
- 9의왕시, 하반기 세외수입 징수대책 보고회
- 10안산시, 고대안산병원 GH와 손잡고 의료복지 연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