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협회 “뇌혈관질환 비용부담↑…민영보험 가입 필요”

우리나라 사망원인 3위인 뇌혈관 질환의 비용부담이 커지고 있어 민영보험을 통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생명보험협회가 10일 권고했다.
협회가 소개한 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뇌혈관 질환 진료 인원은 2011년 52만1,800명에서 2015년 53만8,281명으로 3.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이들의 입·내원일수는 9,987일에서 1만2,241일로 22.6%, 진료비는 1조2,996억원에서 1조6,848억원으로 29.6% 늘었다. 2015년 기준으로 진료 인원의 약 80%가 60대 이상의 고령층이었다. 60대 이후에 뇌혈관 질환 관련 지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로 뇌혈관 질환의 수술과 치료제 등에 대한 개인의 비용부담은 줄어드는 추세다. 다만 사망·반신불수 등에 따른 소득상실, 후유장해로 인한 재활, 장기치료 등 건강보험이 보장하지 못하는 경제적 부담도 크다고 협회는 지적했다. 협회는 월급 500만원인 50대가 뇌출혈로 쓰러져 1개월 입원하고 재활 치료를 3개월간 받으면 소득상실 60%, 수술·입원 125만원, 재활·약물 월 80만원 등 1천600만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생명보험사의 정액보험, 즉 진단·수술·입원비와 생활자금을 정액으로 받는 보험에 가입해두면 이같은 손실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된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현재 판매되는 생보사들의 정액보험은 40세 남성 기준 월 보험료 1만∼2만원에 뇌혈관 질환의 경우 1,250만∼2,200만원의 정액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고 협회는 전했다. 협회는 “뇌혈관 질환을 집중적으로 보장하는 특화상품 외에 건강보험, 종신·정기보험 등 다양한 상품을 주계약이나 특약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BNK금융 "하반기 지역상생·AI·건전경영 중점 추진"
- 이니텍, 바른과 KRWc 법률자문 계약…"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구축"
- 아이비젼웍스, '폴더블폰 소재 검사 시스템' 납품 완료
- BNK부산銀·주택금융공사, 커버드본드 지급보증 업무협약 체결
- 헝셩그룹 “플랫폼934, 中 콘텐츠 제작사와 파트너십 체결”
- BC카드, 여름철 맞이 다양한 할인 이벤트
- 한국산업은행, KDB 스마트 오션인프라 펀드 3호 사업 승인
- 농협銀 금융권 최초 데이터품질 관리체계 품질인증 최고등급 획득
- 현대캐피탈, 여름 맞이 '현대차 특별 금융 프로모션' 시행
- 대산신용호기념사업회, '2025년 보험학 연구지원' 체결식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