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전 아파트값 10.12% 상승…울산은 8.60% 하락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추세가 심화하고 있다. 서울과 대전은 청약통장과 수요자가 몰리면서 아파트 가격 상승이 이뤄지고 있지만, 일부 지방, 지역에서는 고사위기에 내몰려 있는 분위기다. 특히, 대전과 울산의 부동산 시장의 희비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 대전의 경우 아파트 공급부족과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아파트 가격 상승이 이뤄지고 있지만, 울산은 지방경제 침체로 여전히 부동산 시장이 어두운 모양새다.
6일 부동산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해 1~10월 아파트 가격 상승이 이뤄진 지역은 총 67곳이었고, 하락 지역은 58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 올해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상위 3곳이 대전으로 나타났다.
대전 중구의 3.3㎡당 아파트 가격은 올해 1월에만 하더라도 825.3만원 수준이었지만, 10월에는 908.8만원으로 상승해 10개월간 10.12%상승률을 보여 올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대전 유성구의 3.3㎡당 아파트 가격이 1월 1103.6만원에서 10월 1208.7만원으로 올라 9.52% 상승률을 보여 두 번째로 높았고, 같은 기간 대전 서구는 946.8만원에서 1027.9만원 상승해 8.57%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에서는 광진구가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올해 1월 광진구의 3.3㎡당 아파트 가격은 3220.5만원이었지만 10월에는 3455.3만원으로 상승해 7.2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 북구로 확인됐다. 울산 북구의 1월 3.3㎡당 아파트 가격은 796.6만원 수준이었지만, 10월에는 728.1만원으로 내려가 8.60%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울산 울주군은 826.3만원에서 760.3만원으로 7.99% 하락했고, 부산 강서구도 1220.1만원에서 1143만원으로 6.32%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1~10월 전국 아파트 가격은 1월 1417.1만원에서 10월 1434.2만원으로 1.2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로 시세차익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쏠림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지역 간의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크게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핏톡, 2025 부동산 마케팅 VIP 컨퍼런스 성료
- 동국제약 ‘판시딜’로 가을 탈모 관리해볼까
- LG전자 베스트샵,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주요 페스티벌 진행
- 휘슬러코리아, 리미티드 에디션 ‘쉐도우라인’ 출시
- 동원그룹, 3분기 영업익 1481억···전년比 15.1%↓
- 롯데百, 타임빌라스 수원에 ‘시몬스ⅩN32’ 팝업스토어 오픈
- 뜬구름 캐릭터 따로, 칫솔 브랜드와 협업…‘아이시스 8.0’과 콜라보
- 360병 한정판, 오크 캐스크 숙성 쌀소주 ‘브라운 아울’ 출시
- 현대차, 수도권 광역 수소교통 확대 지원 나서
- 페퍼앤솔트, ‘더현대 서울’서 텔레토비 팝업스토어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2김철우 보성군수 "양 지역 농업 인력난 함께 해결해 나가는 출발점"
- 3노경태 이대서울병원 교수,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 300례 달성
- 4핏톡, 2025 부동산 마케팅 VIP 컨퍼런스 성료
- 5동국제약 ‘판시딜’로 가을 탈모 관리해볼까
- 6LG전자 베스트샵,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주요 페스티벌 진행
- 7장흥군, 고위직 공무원 대상 4대폭력 예방교육
- 8휘슬러코리아, 리미티드 에디션 ‘쉐도우라인’ 출시
- 9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 10동원그룹, 3분기 영업익 1481억···전년比 15.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