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신용대출 증가폭 2조원대 유지…대출한도·우대금리 축소

[앵커]
은행권이 연말까지 매월 신용대출 증가 폭을 2조원대로 유지하겠다는 계획을 금융당국에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8월 신용대출 증가 폭이 커지자 금융당국의 경고와 함께 은행권이 신용대출 자율 규제에 돌입한 것입니다. 정순영 기잡니다.
[기자]
시중 은행들이 12월 말까지 월별 신용대출 증가 폭을 점진적으로 축소한다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용진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 은행을 포함한 18개 은행은 신용대출 잔액 현황, 증가율 관리 목표 등 자료를 금감원에 제출했습니다.
올해 8월 신용대출 증가 폭이 커지자 금융당국의 경고에 따라 은행권이 자발적으로 신용대출 자율 규제에 돌입한 겁니다.
6월과 7월 각각 3조원대의 증가 폭을 보인 신용대출은 8월 5조3,000억원 늘었고, 이후 은행권의 규제와 함께 9월에는 2조9,000억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은행권은 10월과 11월, 12월에도 신용대출 증가폭을 2조원대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은행들은 주력 신용대출 상품을 중심으로 대출 한도·우대금리 축소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은행권은 상품별 최대 대출 한도를 종전 2억∼4억원 수준에서 1억5,000억∼2억원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금감원에 제출했습니다.
신용 1∼2등급의 고신용자 기준으로 연 소득 대비 대출 한도는 200%에서 150% 이내로 작아졌습니다.
우대 금리는 은행별로 10∼40bp 축소됐습니다. 서울경제TV 정순영입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나銀·산자부·HL그룹·무보, 美 관세 피해 협력업체 대상 수출금융 지원
- 한양·LS證, 부실 코스닥社 자금조달서 활발한 '팀플레이'
- 보험硏 "500만 치매 시대…한국도 지자체 보험 필요"
- 김병환 금융위원장 조용한 퇴임…"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
- 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BNK금융 고군분투…지역 살리고 건전성 지킨다
- 수협은행, 비은행 첫 인수…금융지주 전환 속도
- 뉴로랩-광주시, AI·협동로봇 기반 '랩오토메이션' 시장 진출 가속화
- 한패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IPO 시동 본격화
- 뱅크샐러드, 고객 대상 금융 피해 보상 위한 '해킹 피해 보증서' 제공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하나銀·산자부·HL그룹·무보, 美 관세 피해 협력업체 대상 수출금융 지원
- 2한양·LS證, 부실 코스닥社 자금조달서 활발한 '팀플레이'
- 32차 소비쿠폰 지급 기준 공개…금융소득 2000만원이 기준
- 4여성 임원 늘었지만…"임금격차는 여전히 OECD 최악"
- 5장수군, 슬레이트 처리 지원 사업 추가 모집…30일까지 신청 접수
- 6전북특별자치도민체전 배구 경기
- 7제62회 전북도민체전 민속 경기
- 8제62회 전북특별자치도민체육대회 고창서 팡파르…3일간 뜨거운 열전
- 9옴니보어와 문화다양성Ⅰ: 창조적 공존의 가치
- 10영진전문대, 해외취업 대학 1위 '우뚝'. . .해외취업한 선배들 모교 찾아 장학금 기탁
댓글
(0)